[ 탁 주 한 잔 ]

“죽은 후
천추만세까지 이름이 전해지는 것 보다는
살아생전에
탁주 한잔만 못하다”
(死後千秋萬歲之名 不如生時濁酒一杯)는 말이 있다.

사후의 세계보다
살아생전이 더 소중하다는 뜻이다.

고려의 대문호
이규보(李奎報)가
아들과 조카에게 준 시(示子姪)를 보면 노인의 애틋한
소망이 그려져 있다.

죽은 후
자손들이
철따라 무덤을 찾아와 절을 한들
죽은 자에게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으며,

세월이 흘러 백여 년이 지나
가묘(家廟, 祠堂)에서도 멀어지면 
어느 후손이 찾아와
성묘하고
돌볼 것이냐고 반문했다.


찾아오는 후손 하나 없고
무덤이 황폐화되어
초목이 무성하니

산 짐승들의 놀이터가 되어 
곰이 와서 울고
무덤 뒤에는 외뿔소가 울부짖고
있을 것이 자명하다고 했다.


산에는
고금의 무덤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지만
넋이 있는 지 없는 지 누구도 알 수 없다고
탄식하여 
사후세계를 연연하지 않았다.


이어서
자식들에게 바라는 소망을
다음과 같이 그렸다.

“조용히 앉아서 혼자 생각해 보니
(靜坐自思量)
살아생전
한 잔 술로 목을 축이는 것만
못하네
(不若生前一杯濡)


내가
아들과 조카들에게 말하노니
(我口爲向子姪噵)
이 늙은이가
너희를 괴롭힐 날 얼마나
되겠는가
(吾老何嘗溷汝久)


고기 안주 놓으려 말고
(不必繫鮮爲)
술상이나 부지런히 차려다 주렴
(但可勤置酒)”


조용히 생각해 보니
사후의 일보다
살아 있을 때의 삶이 더욱 소중함을 깨닫고

자손들에게 
한잔 술로
목이나 축이게
부지런히 술상을 차려주는 것이
효도라고 했다.


자신은 이제
서산에 지는 태양과 같은 신세인지라
자손들을 괴롭힐 날이 얼마나 되겠느냐면서,

힘들게
고기 안주 장만하려 하지 말고
나물 안주와
탁주라도 좋으니

날마다 술상을 차려 달라고 
쓸쓸하게
속마음을 털어놓았다.


만년의 이규보가
간절하게 바란 것은

쌀밥에
고기반찬의 진수성찬도 아니요
부귀공명도 아니며 
불로장생도 아니다.

다만
자식들이
“살아생전에 목이나 축이게
술상이나 부지런히 차려다 주는것뿐이었다.


이 얼마나
소박한 노인의 꿈인가?
비록
탁주일망정
떨어지지 않고
항시 마시고 
싶다는
소망이
눈물겹다.



이 시가
우리의 가슴을 아리게 하는 것은
노인들의
한과 서러움이 진하게 묻어 있고
꾸밈없는 소망이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원(悲願)은
시인만의 것이 아니다.


이 땅에 사는
모든 노인들의 
소망이기도 하다.


아!
요즘 세상에
어느 자식이 이 소망을 들어 줄
것인가?

사후의 효보다
생시의 효가

진정한 효이다.
 

( 옮겨 받은 글 입니다. )

🌿🌸인욕(忍辱)은 생명을 살린다🌿🌸

- 忍辱: 욕된 일을 당해도 참고, 억울해도 변명을 하지 않는다는 불교 수행법-

'백은 선사(白隱 禪師)'

일본의 선불교를 중흥시킨 백은(白隱, 1685~1768)
선사는 한 때
송음사에 머물고 있었다.

어느 날 백은 선사가 기거하던 절 입구 마을의 두부장수집 딸이 이웃 사내와 정을 통하여 아기를 갖게 되었다.

그 사실을 안 딸의 부모는 크게 분노하여 몽둥이를 들고 심하게 추궁했다.

'감히 처녀의 몸으로 아이를 가지다니!' 어느 놈의 씨를 뱃속에 넣었느냐?

살기등등한 부모님의 추궁에 딸은 사실대로 말할 수가 없었다.

사실대로 말하면
청년도 죽고 자신도 죽고 뱃속의 아이도 죽기 때문이다.

몽둥이로 패 죽이기 전에 사실대로 말해라, 내 그 놈을 가만 두지 않겠다.'

몹시 화가 난 처녀의 부모는
아이의 아버지가 누구인지 대라고
딸을 심하게 추궁하였다.

딸은 어떨 결에
윗 절의 백은 스님..
라고 대답했다.

평소 두부장수는 백은 선사를 존경했고, 이웃의 모든 사람들도 존경했다.

평소 존경했던 스님을 죽일 수는 없고. 그 존경의 마음은 사라지고 분노의 마음이 백은 스님께로 옮겨갔다.

그리고 몇 달 뒤, 딸이 사내아기를 낳자
딸의 부모는 아기를 안고 스님을 찾아와 말했습니다.

'당신의 잘못으로 생겨난 당신의 아들이니, 당신이 키우시오'

스님은 '좋다 싫다'는 말 한마디 없이
아기를 안고 집집을 찾아다니며 젖을 얻어 먹였고 똥오줌을 받아주고 목욕도 시키며 정성껏 키웠습니다.

온갖 욕설과 비난을 받으며 백은 선사는 젖동냥과 음식구걸로
애지중지 아기를 잘 키웠습니다.

아기의 진짜 아버지는
대장간에서 일하는 젊은 청년이었습니다.

두부장수 딸과 청년은 결혼하게 되었고,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된 처녀는 마침내 부모에게 이실직고 하기로 하였다.

친부인 대장간 청년, 그리고 처녀의 부모들은 처녀를 대동하고 백은 선사에게 달려가 전후 사정을 고하고 용서를 빌며 아기를 돌려 달라고 간청했다.

그러자 백은 선사는 순순히 아기를 내어 주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 그런가?'

백은 선사는 자신의 아이라고 인정하지도 않고 부정하지도 않았다.

단 한 마디의 변명이나 꾸중도 없이 단지
'아, 그런가?' 라고 말했을 뿐이었다.

백은 선사는 자신이 결백하였지만 구차하게 자신을 변명하거나 방어하지 않았다.

백은 선사의 인욕(忍辱)이
세 사람을 살린 것이다.

그 후로 그의 명성은
일본 전체에 퍼지게 되었다..

백전백승(百戰百勝)이라도 :
백번 싸워 백번 승리하더라도

불여일인(不如一忍)이라 :
한 번 참는 것만 못하다.

추운 날씨에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윙크) #"♧초록이야기"

아침 조금 일찍나서 산책을 하다보니
데크길에 하얀 서리가 내렸다.
하얀서리를 밟으며 지나가니
참 미끄럽다
넘어질까 조심 조심
위태 위태 어슬픈 걸음걸이로 한발짝 씩 내 딛는다.
하얗게 서리가 내린 데크길옆 난간에도
하얀 서리가 내려앉아
휴대폰을 꺼내 들고 찍어본다
휴대폰 카메라가 DSLR 못지 않다
렌즈를 번갈아 가며 표준렌즈 3배줌 10배줌 망원렌즈로 찍어 본다.
우리가 가지고 다니는 휴대폰에는
광각렌즈와 표준렌즈 그리고 3배줌, 10배줌 망원렌즈가 달려 있다,
넓고 광활한 풍경사진을 찍을땐 광각렌즈를
일반적인 풍경 사진은 표준 렌즈를 사용하고
인물사진은 3배줌으로 그리고 좀 더 세밀하고
원거리에 있는 사진을 찍을땐 10배줌 망원렌즈를 사용해야 한다
그참 휴대폰 카메라가 장난 아니다 제법 괜찮다

어느 날은 문득^^

나만이
세상 밖으로 밀려나 홀로 떨어져
암흑 속에 갇혔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을 것이다.

하는 일마다 내 뜻과 달라
견딜 수 없는 고통으로 좌절할 때도 있을 것이다.

때때로 사는 게
막막하고 막연해지는 까닭으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방황의 늪에 빠져 허덕일 때가 있을 것이다.

바람이 불면 바람이 부는 대로 이끌리고..

비가 내리면
그 비를 맞으며 살고 싶을 때도 있을 것이다.

이럴 때 해맑은 봄빛처럼
살며시 다가와 내미는 손길이 간절해지는 것은..

사람은 서로 기대고
위안이 필요한 그리움의 존재이기 때문이다.

내 진실한 마음으로^^

누군가의 눈물을 닦아주고
누군가의 손길로 핏기 잃은 가슴을 위로받길 원한다면

가장 편안한
눈길로 따뜻한 위안이 되어야 한다.

누군가의 생을
탄탄하게 받쳐줄 너넉한 마음으로
이 길을 가는 사람은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다.

사람은 서로 기대고 위안이 필요한 존재 입니다^♡^
 

♥사청사우(乍晴乍雨)/김시습(金時習)

잠간 개었다가 비 내리고 비 내렸다가 도로 개이니

하늘의 이치도 이러하거늘 하물며 세상 인심이야.

나를 칭찬하다 곧 도리어 나를 헐뜯으니

명예를 마다더니 도리어 명예를 구하게 되네.

꽃이 피고 꽃이 지는 것을 봄이 어찌 하리오

구름이 오고 구름이 가는 것을 산은 다투질 않네.

세상 사람에게 말하노니 반드시 알아두소

기쁨을 취하되 평생 누릴 곳은 없다는 것을.

乍晴還雨雨還晴, 天道猶然況世情

(사청환우우환청 천도유연황세정)

譽我便是還毁我, 逃名却自爲求名

(예아변응환훼아 도명각자위구명)

花門花謝春何管 雲去雲來山不爭

(화개화사춘하관 운거운래산부쟁)

寄語世人須記憶 取歡無處得平生

(기어세인수기억 취환무처득평생)

 

조선 초기 생육신의 한 사람 이었던 매월당((梅月堂) 김시습(세종17년 1435~성종 24년 1493)이 지은 "사칭사우"를 우리말로 옮겨보면 "변덕스러운 날씨"쯤 될 것이다.

세조가 단종을 쫓아내고 왕위를 찬탈하자 통곡하며 책을 불사르고

중이 되어 온갖 기행을 일삼으며 살아갔던 김시습이다. 어릴 적 읽었던

김시습의 위인전에서 기억에 남았던 일화가 있는데, 김시습의 나이 5세에

이미 신동으로 널리 소문이 나 당시 임금이었던 세종의 귀에도 그 소문이 들어갈 정도였다.

세종은 김시습을 친히 궁으로 불러들여 어린 신동에게 이것저것을

묻고 그의 지혜를 살핀 뒤 크게 만족해 상으로 비단 몇 필을 내려 주었다.

세종은 어린 신동에게 상을 내려주는 대신 어른의 도움 없이 홀로 비단을

집으로 가져가도록 했는데, 진짜 시험은 바로 이것이었다. 어린 김시습은

비단을 풀어 자신의 허리에 묶고는 집까지 비단을 끌고 돌아가니 세종이

이 사실을 전해듣고 크게 경탄했다는 이야기이다.

공자께서 '나는 나면서부터 안 자가 아니라 옛것을 좋아하여 힘써 구하는 자

(我非生而知之者 好古敏以求之者也)'라고 했는데 이것은 공자가 스스로를

낮춰 겸양을 표한 것이기도 하지만 지혜란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깃드는

것이란 의미에서 공부를 강조하기 위해 한 말이다.

어쨌든 '나면서부터 아는 것(生而知之)'라면 '배워서 하는 것(學而知之)'인데

주자는 천하의 지극한 성인이라야 이처럼 나면서부터 아는 총명예지(聰明睿知)가

임할 수 있으니 이것이야 말로 '생지지질(生知之質)'이라 했다.

그런데 조선 역사상 이처럼 '생지지질(生知之質)'로 일컬어진 단 한 명이 바로 김시습이었다.

태어난지 8개월 만에 스스로 글을 깨우칠 만큼 천품이 탁월해 임금도

친히 관심을 기울일 정도이긴 했으나 세종이 친히 김시습을 불러 시험을 치르게 했다는

이야기는 민간의 설화가 부풀려진 듯 싶다.

세종은 민간에 널리 퍼진 김시습의 천재성에 대한 소문으로 인해 혹시라도

어린 아이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 두려워 지신사 박이창을 시켜 승정원으로

불러들여 이를 확인토록 했을 뿐이며 박이창의 보고를 받은 뒤

"내가 친히 그 아이를 불러보고 싶으나 일반 백성들이 해괴하게 여길까 두려워

그러니 그 가정에 권하여 잘 감추어 교양을 쌓도록 하고 그가 성취되기를 기다려

장치 크게 쓰리라"는 전교를 내렸다 한다.

그러나 김시습의 나이 21세 때 단종이 폐위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김시습은

문을 굳게 닫아 걸고 나오지 않은지 3일만에 크게 통곡하면서 책을 불태워버리고

이후 미친 척하며 스스로 머리를 깎고 중노릇을 하며 살았다.

비록 이 시에서 김시습은 관조달통(觀照達通)한 듯한 어조로 말하고 있지만

매월당이 이후 살아온 삶의 내력을 조목조목 살펴보고 있노라면 그것을 어떤 이는

편벽이라고도 하던데 일종의 결벽증 같은 것이 있었던 사람이 아닐까 싶다.

그는 아무리 가난하여도 무엇이건 빌리지 않았고 남이 주어도 받지 않았으며

자신을 찾아오는 이에게 물어 자신을 통렬하게 비판하는 자가 있다면 아주 즐거워했고, 거짓으로 미친 체하면서 그 속에는 다른 배포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눈썹을 찡그렸다고 한다.

얼핏 세상사에 초연한 듯 보이지만 또한 자신이 세상에서

잊혀지는 것은 원치 않았던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봉건시대의 정치체제란 왕이 곧 체제인데 단종을 죽이고 왕권을 찬탈한 세조와

그 후손이 집권하는 것은 김시습에게 있어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체제였다.

그렇다고 해서 그에게 이 체제를 뒤집을 만한 권력이나 의지가 있었던 것 또한

아니었기에 그는 살아도 살아있지 못한 삶을 살아야 했을 것이다. 체제의 외부를 만들어 낼 수 없는 자는 그것을 상상하게 된다.

아마도 김시습이 지은 금오신화는 이와 같은 그의 상상이 빚어낸 체제의 바깥, 어디쯤이었으리라. 쓸쓸하고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김시습, 그의 나이 59세에 무량사에서 입적했으나 그는 죽음 뒤에도 여전히 색다른 사람이었다.

화장을 거부한 탓에 몇 해 동안 절 옆에 안치해두었는데 3년후 장사를 지내기 위해

관을 열었을 때도 생시와 다름 없는 안색이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그가 죽음 이후에

부처가 되었다고 믿어 화장하였는데 이때 사리 1과가 나와 부도를 만들어 세우고

그의 풍모와 절개를 기렸다.

오랜 세월이 흐른 뒤 김시습에게 이조판서가 추증되고,

청간공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나 그것이 김시습에게 무슨 의미였을까?

《좌로 변신하겠습니다.》
☆"합체는 언제 하나?"

변신로봇을 좋아하는 순진하고 착한 어느 운전병이 사단장의 1호차를 운전하게 되었다. 선임으로부터 기본적 교육을 받고 사단장이 탄 차를 처음 운전하는 날.

갈림길에서 좌회전을 하게 되었다.
방향전환 전 미리 알려 드려야 한다는 선임의 가르침대로 착한 운전병은 좌회전 하기 전 "좌회전하겠습니다" 한다는 것이 너무 긴장하여
"좌로 변신하겠습니다" 하였다.
그 후 우회전하기 전에도 "우로 변신하겠습니다"
또다시 "좌로 변신하겠습니다"


많은 좌.우 변신을 거듭한 끝에 목적지에 도착하였을 때 사단장이 차에서 내리면서 착한 운전병에게 물었다.
"합체는 언제 하나?"
(2023. 1. 12 박종판)

[삶이 꽃피는 그 순간]

바나나를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순간은
바나나 껍질에 갈색의 반점이
하나 둘 생길 때...

귤을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순간은
귤 껍질이 말랑말랑해 졌을 때...

밥을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순간은
뜸이 잘 들었을때
그리고 배가 조금 고플 때...

사랑이 가장
아름다운 순간은
그 사람이 좋아지기 시작한지
일주일째 접어 들었을 때...

사랑이 가장
깊어지는 순간은
그 사람을 위해
죽을 수도 있다고 생각되는 때...

하루가
가장 맛있는 순간은
밝은 어둠과
어두운 밝음이 공존할 때...

일이
가장 즐거워지는 순간은
일터에 보고싶은 사람이 있을 때...

여행이
가장 향기로워지는 순간은
열심히 걷고 보던 순간이 아니라
어느 고요한 벤치에 앉아
풍경과 하나가 되었을 때...

식물이
가장 아름다운 때는
그 꽃의 이름을 알게 되었을 때...

그대가
가장 아름다운 순간은
5분을 보기 위해
1시간을 달려왔을 때...

커피맛이
가장 향기로워지는 순간을
"커피맛이 핀다"고 한다.

삶이 그렇게
향기롭게 피어나는 순간이
찾아 올 것이다.

"과거에도
그런 순간이 있었을것이다"

-김미라, '삶이 내게 무엇을 묻더라도' 중에서-

>글출처:카스-꽃편지

말에도 색깔을 지니고 있다^^

집에서도 직장에서도
일을 할 때도 어느 공간이라도
우리는 항상 말하며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그래서 말투에 따라서 상황과 관계가
악화되기도 하고 긍정적으로 바뀌기도 하는데요..

이렇게 말투는 중요한
순간에서 결정적으로 좌지우지 하곤 합니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 설득의 기법으로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 세 가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에토스는 신뢰, 호감을 말하고..
파토스는 공감, 감성을 뜻하며..
로고스는 논리와 이성을 말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상대를
설득하려면 에토스 60%, 파토스 30%
로고스 10%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사람들과^^
대화할 때도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이런 방식으로 전달해야 합니다.

먼저 에토스를 통해 신뢰를 형성하고..
파토스를 통해 마음의 문을 열고..

이성적이고
논리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것입니다.

말은 마음의 지표이자 거울입니다^^

항상 필요한 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면..

유연한 인간관계, 인생의 선순환을 불러오는
긍정적인 마음가짐까지도 손에 넣을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줄
행복의 선순환은 따뜻한 한마디 말에서 시작됩니다.

좋은 말을 남에게
베푸는 것은 비단옷을 입히는 것보다 따뜻하다.

행복한 주말들 보내시길^♡^


[그대여 오늘도 힘내세요!! 파이팅!!]

온 누리에
꽃향기 가득한
봄날이 오듯

그대 마음안에도
푸르름이 곱게 물들어

예쁜 꽃이
피어나면 좋겠습니다

비록 보잘것 없이
작고 작지만,

그리움에 찌들어
말라버린 그대 마음안에

투명하고 맑은
이슬 한방울이

그대 마음을
흠뻑 젹셔

밝은 웃음을
지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따스한 봄 햇살이
그대 걸어가는 길을
밝게 비추이고

차가운 바람은
훈훈한 봄 바람이 되어

그대 가슴에 용기와
희망을 가득 담아

자신감 가지고
살아가면 좋겠습니다

늘 그대 위해
투박하고 순수한
마음하나가

모든것을 감내 해 나가는
모습을 바라보고

그대도 용기와 힘을 내서
보다 더 아름다운
삶이 될수 있기를

두손 모아 간절히
간절히 기도 드립니다

그대여~!!
오늘도 힘내세요~!!
파이팅입니다!!

- 좋은글 중에서 -

>글출처:카스-좋은글꽃편지
 
 

https://youtube.com/shorts/kVcpiWnfhaM?si=qq_OSNzgqKn40Ohh

빛깔이 끝내줘요~ 좋은분들과 #소고기 #생고기 #육회 #한우 #쏘맥 #삼겹살 #항정살 #korea #beef #pork #porkbelly #shorts좋은분들과 한우 육회 생고기에 쏘맥한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