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날이야기 - 돌아야 돈이다


靑綠(청록)골은 遊覽(유람)마을이다.

金剛山·雪嶽山 만큼은 아니지만
垂直(수직)으로 솟아오른 花崗巖(화강암) 바위가 하늘을 찌르고

絶壁(절벽) 사이사이 갈라진 틈으로 소나무가 뿌리를 박아 盆栽(분재)처럼 매달렸다.

이 溪谷(계곡) 저 溪谷(계곡)에서 모인 물은 제법 큰물을 이뤄 돌고 돌아 내리다가
 
瀑布(폭포)가 되어 絶壁 앞에 떨어지니 커다란 沼(소)가 생겼다.

絶壁(절벽) 反對便(반대편)에는
白沙場(백사장)이 제법 참하게 펼쳐져

여름이면 遮陽(차양)을 치고 물놀이며 뱃놀이를 하기에 安城(안성)맞춤이다.

그뿐이 아니다.
봄엔 진달래·철쭉이 온 마을을 꽃 동산으로 만들었다.

땅을 뚫고 새싹이 솟아오르면 겨우내
房(방)에 처박혀 글을 읽던 선비들은

踏靑(답청, 봄에 파랗게 난 풀을 밟으며
散策함)하러 끼리 끼리 靑綠골을 찾았다.

가을엔 滿山紅葉(만산홍엽)이 자지러져
丹楓(단풍) 行樂客(행락객)이 몰려들었다.

겨울이라고 靑綠골이 쥐 죽은 듯 조용한 건 아니다.

靑綠(청록)골 사냥꾼들이 잡아 놓은
곰이다 멧돼지다 사슴을 먹으러 오는
好事家(호사가)들이 제법 있었다.

또 大處(대처)의 눈을 避(피)해 반반한 색시를 꿰차고 靑綠골로 들어와

酒幕(주막)집 구석진 客房(객방)에 처박히 는 誤入(오입)쟁이들 德分(덕분)에 그런대 로 마을에 돈이 돌았다.

그런데 느닷 없이 이게 무슨 날벼락인가?

大處에 疫病(역병)이 돈다는 所聞(소문)이 퍼지더니 行樂客의 발길이 서로 짠듯이
딱 끊겨버렸다.

疊疊山中(첩첩산중) 靑綠(청록)골엔 疫病 이 들어오지 않았지만,

行樂客도 들어오지 않으니 먹고 살 길이
寞寞(막막)해졌다.

나룻배 船着場(선착장) 옆에 자리 잡은
酒幕집 싸리 문짝 위에 달린 초롱불만
손님을 기다리며 바람에 깜박거릴 뿐

그 많은 客房(객방)에 불 켜진 房(방)이 하나도 없다.

酒幕집에 쇠고기·돼지고기를 갖다주던 푸줏간은 파리만 날렸다.

돼지를 키우고 닭을 키우는 陸氏(육씨)네 는 감자·고구마 살 돈이 없어 먹이를 못주니 돼지가 삐쩍 말라갔다.

菜蔬(채소) 장수도 農夫(농부) 林氏에게 밀린 외상값을 못 갚아 감자도 떨어지고

조금 남아 있는 고구마가 썩기 始作(시작) 해도 달리 손쓸 方途(방도)가 없었다.

農夫 林氏(임씨)도 두손을 놓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菜蔬(채소) 장수에게서 밀린 代金(대금)도
못 받았는데
새로 農作物(농작물)을 줘봐야 외상값만 더 쌓일게 뻔했기 때문이다.

林氏네 밭에서 일하던 朴書房(박서방)도 일거리가 떨어져 집에서 쉬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저녁,
酒幕(주막)집에 손님이 들어 왔다.

千石(천석)꾼 富者(부자) 柳進士(유진사) 의 개차반 막내아들이 그 渦中(와중)에 색시를 하나 데리고 온 것이다.

손님은 先拂(선불)로 열냥을 酒幕(주막)집 酒母에게 건넸다.

손님이 房에 들어가자 酒母(주모)는
푸줏간으로 달려가 그간 밀렸던 외상값을 갚고 돼지고기 두근을 사왔다.
 
푸줏간 主人(주인)은 酒母한테 받은
열냥을 얼른 돼지 키우고 닭 키우는 陸氏 에게 갖다줘 밀린 외상값을 털어버렸다.

陸氏도 農夫 林氏에게 달려가 외상값을 갚았다.
 
林氏는 農事일을 거드는 朴書房의 품삯을 支拂(지불)했다.
 
돈이 생긴 朴書房은 酒幕에 가서 밀린 술 값을 다 갚고 술을 마셨다.

그때 헐레벌떡 大處에서 柳進士네 下人이 달려왔다.

下人은 막 색시 옷고름을 풀던 柳進士의 막내 아들에게 할머니가 돌아가셨다는
訃音(부음)을 傳(전)했다.

손님은 酒幕집에 先拂(선불)로 줬던 열냥을 다시 받아 들고 허겁지겁 酒幕을 떠났다.

열냥이 靑綠골에 떨어진 것도 아닌데
빚이 모두 없어지고 活氣(활기)차게
제 할 일을 하게 되었다.

돈이 그저 동네를 한바퀴 돌아 나갔을 뿐 인데 동네가 살아난 것이다.


農民新聞 조주청의 舍廊房이야기



















사진은 국채보상공원에 핀 매화꽃 (2020년 2월 16일 촬영)

*** 爐邊情談(노변정담)  ***

 

어느날 꽃장수가 이발소에 왔습니다.

이발을 하고는 얼마냐고 물었습니다.

 
이발사는 이번 주는 마을을 위해 자선봉사를 하고 있어

돈을 안 받겠다고 하였습니다.

꽃장수는 즐거운 맘으로 이발소를 떠났습니다.

다음 날 아침 이발사가 출근하니

꽃다발과 감사 카드가 꽂혀 있었습니다.


다음 날에는 경찰관이 왔어요.

이발사는 또 이번 주는 마을을 위해 자선봉사를 하고 있어

돈을 안 받겠다고 하였습니다.

경찰관은 즐거운 맘으로 이발소를 떠났습니다.

다음 날 아침 이발사가 출근하니

도넛 한 판과 감사 카드가 꽂혀 있었습니다.

 
다음 날에는 국회의원이 왔습니다.

이발사는 또 이번 주는 마을을 위해 자선 봉사를 하고 있어

돈을 안 받겠다고 하였습니다.

국회의원은 즐거운 맘으로 이발소를 떠났습니다.

 
다음 날 아침 이발사가 출근하니

12명의 국회의원이 공짜 이발을 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시민들과 정치인들의 근본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것 같지 않습니까?

이래서 정치인과 기저귀는

자주 바꿔 줄 필요가 있는가 봅니다.

 
만일 당신이 이 메시지를 다른 분에게 전달할 수 없다면

당신은 유머 감각이 없으신 겁니다. ?

 

-옮긴 글-















대구는 전통적인 야당의 도시이다.

예전 김영삼 김대중 시절땐 그렇게 불리웠다.

그러나 10.26 사태이후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고 부터 야당의 도시 라는 이미지가 퇴색되어 가더니

이제는 보수 우파의 도시로 자리매김 하기 시작 했다.

김대중 정권 시절의 반감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이제는 보수 우파의 정당에서

공천만 하면 국회의원이나 지역 기초의회에 당선 되는 지경에 이러렀다

그래서 그런지 TK지역은 아무것도 해 주는것도 없이 보수 우파의 깃발만 꽂으면

모두 다 당선이 된다는 생각인지 총선도 치루기전 지들끼리 난리 굿이다.

TK지역 물갈이를 해야 한다느니 하며

그들이 진정 TK지역을 위해 해 준게 무엇인가?

지역 주민들은 단지 전라도당이 정권을 장악하는게 싫은 까닭에

보수 우파를 지지하는것 뿐인데

당 지도부에서는 TK지역을 점령자처럼 지역 주민들을 대하는 듯 하다

지역 주민의 의사와 상관없이 물갈이를 한답시고 공천 심사를 한다는 꼬락서니를 보면

과연 정권 재 창출의 의지는 있는 것인지

나도 보수우파를 지지하는 지역 주민으로서 이제는 낡은 구 정치 세습을 싹 바꿔야 할때라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 국회의원 한두명 물갈이를 해야 하는것이 아니고

기득권의 보수우파 핵심 권력 세력부터 물갈이를 하고 정치 풍토를 확 바꿔야만

정권 재 창출을 기 할수 있다고 본다.

TK지역에 깃발만 꽂으면 승리할 수 있다는 그런 오만함 부터 버려야 한다고 생각 한다.

이런 사고를 가진 기득권의 보수 우파를 몰아 내기 위해서라도

전라도 당이 정권을 잡는게 정말 싫어도 이제는 지역 주민들이  기득권의 보수우파

핵심 권력들 이들을 심판할 수 밖에 없다.


구좌상회를 출발하여 함해수욕장 주변 창흥식당이란 곳에서 늦은 점심을 먹기로 하였다

함덕 해수욕장을 지나 좁은 골목길을 비집고 들어가 주차 할 곳이 없는곳임에도 억지로 차를 주차하고

창흥식당엘 도착하니 이곳이 맛집이긴 한 모양이다만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브레이크타임이란다 요즘 잘되는 식당에는 시간을 정해 놓고 마련해둔 식재료로 만든 음식만 팔고

브레이크타임을 가진후 다시 식재료를 준비하여 장사하는 그런 식당이 많다 하더니

그 꼴이다 얼마나 맛 있길래 줄지어 서서 기다렸다  밥을 사 먹는단다

어쩌누 이왕 이리 된거 함덕근처 스위스 마을을 구경 하고 다녀와 식사를 하면 되지

그렇게 찾은 스위스 마을이다


스위스 마을이래야 스위스풍의 건물 몇채 지어놓고 알록 달록 빨강 연두 주황 노랑색의

원색 페인트 칠을하여 단장한 곳인데  예쁜 건물들이 있는 곳인데 비해 상가의 공실율이 너무 많고

사람들이 찾지 않아 유명 무실한 상가 거리가 되버린듯 하다

높은 임대료 때문인지 아니면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멀어진 탓인지 모르지만

썰렁한 상가 거리가 너무 아쉽다.













건물들은 에쁜데 사람이 없으니 상권이 다 죽어 버려 예쁜 건물들이 무색하다

함덕해수욕장 쪽으로 나오는 길에 예쁜 노을빛이 물든 하늘을 사진 한장 찍고

다시 함덕해수욕장 부근 창흥식당쪽으로 향했지만 창흥 식당은 여전히 문을 닫은 터라

꿩대신 닭이라 함덕마당이란 음식점을 찾아 점심겸 저녁겸 한숟갈 뜨고 제주로

제주 용머리 해안에서 일몰풍경을 담아 보고 싶었지만 함덕마당에 들어설땐 이미 해가 서산으로 넘어가 버렸다

이제 7시까지 차량을 반납 하여야 하는데 제주블루 렌트카 까지

7시에 도착 할수 있느냐를 따져야 할 만큼 시간이 되어 버렸다.

함덕 해수욕장에서 제주 공항 까지 15Km정도 인데 운행시간은 약 30분 이 넘게 소요된다니 어쩌누

조금 빨리 차를 달려 블루라인렌트카에 차를 반납하고 셔틀에 올라 탔다

그런데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던 휴대폰을 차량 거치대에 두고 왔다

아이고 내 정신 허겁지겁 뛰어가 휴대폰을 간신히 찾아 셔틀버스를 올라타

공항으로 삼일동 안의 제주 여행은 이렇게 마무리 짓는다

제주가 좁은 동네가 아니야 나중에 은퇴하면 한달 살기로 테마를 바꿔 볼까보다

드루쿰다를 구경하고 커피박물관을 가기로 했다

산중 KT 건물을 인수한 여자분이 그곳에 커피 박물관을 꾸몄는데

너무 멋있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는 곳이다

네비게이션에 의지하여 어렵게 길을 찾아 골목길 입구로 좌회전 하여 들어서려는 순간

길을 막아서는 사내 둘이 있었으니 진입 금지 란다 좌회전 금지 구간이여서 그런가

이곳에서 좌회전이 허용이 되지 않아 그런가 하며 이상하다 하여 다시 유턴하여

우회전 하려니 다시 두 사내 녀석들이 길을 막아선다

왜요? 하고 되물으니 차량이 혼잡하여 주차 할곳이 없으니

차를 다른 주차장에 세워두고 셔틀 버스를 이용하란다

그만큼 관람 객이 많다는 거니 평일 오후 인데도 불구 하고 말이야

결국 커피 박물관은 포기하기로 하고 구좌상회로 가보기로 했다

구좌상회에는 제주 월정에 위치한 카페로 당근케익이 유명 하단다

구좌상회는 조그많다 어디 있는지도 모를 만큼 작다 월정이란 마을도 작다 하지만 많은 카페와

캐릭터 기념품상 이 있는것으로 보아 그 인기가 얼마나 좋은지를 실감 할수 있었다

당근 케익이 얼마나 맛있고 구좌상회 작업실을 얼마나 예쁘게 꾸며 두었길래?...


들어가 보니 별거 없는데 그리도 유명 하단다.

난 별로 점수를 주고 싶지 않은데



드루쿰다라는곳이 있단다 아마 스튜디오로 꾸며 사진 촬영 장소로 제공 되는 곳이기도 하단다

성산 일출봉과 지척에 있어 많은 연인들이 찾는 곳이란다

그곳에는 커피도 팔고 음료도 파는데 굳이 사먹지 않아도 되는데 입장료를 내어야 관람 할수 있단다

어디 보자 얼마나 이쁘길래???


그러고 보니 딸아이 결혼식전 웨딩 사진을 찍던 가창의 한 스튜디오가 생각 난다

그런 공간 이겠거니 하고 차를 그곳으로 향했다

정말 멋지다 촬영하기 정말 좋은 곳이다

정말 좋은 곳인데 사진을 찍는다고 찍었지만 결과물이 에이 이건 아니다

내가 참 사진을 못 찍는다는 걸 새삼 스레 다시 느낀다


























제대로 된 사진 촬영을 하려면 괜찮은 모델 한명 데려와 하루 종일 촬영을 해도 아쉬움이 남을것 같은 스튜디오다

성산일출봉을 구경하고 제주로 가는길 성산 일출봉을 돌아서 나오려니

광치기해변엔 파란 하늘과 어울린 유채꽃 밭에 유채꽃이 만발했다

사진촬영 입장료를 개인 사유지라고 별도로 징수 한다

굳이 들어가야 할 이유도 없고 곁에 다가가 유채꽃 밭만 한번 사진 찍는걸로 구경을 대신 한다,

제주에는 봄이 참 이르다 싶은 생각이 든다

벌써 유채꽃이 만발 하다니???

그런데 차에서 내려 보니 유채꽃 만이 아니다

왠 꽃들이 이리도 많이 폈는지?





첫째날 망고 홀릭으로 가서 망고 주스 한잔 하려 했는데

이것도 이미 인터넷으로 티켓을 끊어 둔터라 성산점으로 가서 망고 주스 한잔 해야지

본전 생각 안니쥐~ 그래서 간곳이 성산 일출봉 입구 망고홀성산점

망고 주스 한잔의 이유가 아니더라도 성산 일출봉은 관광하기 좋은 곳

이왕 왔으니 성산 일출봉 구경 하고 가야지

성산 일출봉에 들어 서니 입장구너을 발권해야 한단다

어떻하나 그렇다고 성산 일출봉 정상까지 가기에는 일정이 그렇고 발권을 하려다

자세히 보니 무료 개방 구간이 있다네 그 무료 구간만 구경 하고 내려 오는걸로...







멀리 보이는 섬이 우도이다 일출봉 서쪽 해안 구간에 보니 우도가 손에 잡힐듯 가까이 있다

설치된 망원경으로 쳐다 보니 우도 선착장의 글씨가 다 보일만큼 선명히 보인다



제주 해녀들의 물쇼를 하는곳이란다 해녀들이 잠수를 하여 따온 해산물을 파는곳이기도 하다


성산포 연안부두와 주변 모습

소한 대한이 다 지나서인지 올해 유난히 따스한 기운 때문인지 성산 일출봉을 향해 가는 들길에 꽃이 많이 펴있다

성산일출봉 바닷가에 올라 서니 우도가 손에 잡힐듯 이렇게 가까이 우도가 있었나 싶을 정도이다

몇해전 우도를 배타고 건너가 전기자동차를 타고 일주 하던 생각이 떠 오르기도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