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사진 잘 찍는 방법 그 하나|          

처 : http://cafe.daum.net/-can-/He1e/26 

 

 

사진 잘 찍는 방법 그 하나

 

                                                                             첨부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람은 누구나 꽃을 보면 좋아한다.

카메라나 핸드폰, 스마트폰 등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도구나 장비를 가지고 있으면

그 아름다운 꽃을 찍는다. 누구에게나 예술적, 미적 감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꽃은 전문사진작가나 일반인들에게 애용되는 사진의 소재다.

 

어떻게 하면 잘 찍을 수 있을까?

 

일상적 생각으로는 어느 것보다 쉽게 찍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름답게 보이는 그대로 촬영하면 되니까 말이다. 맞는 생각이다.

그러나 막상 촬영에 임하여 보면 그 결과는 마음먹은 대로 나오지 않는다.

 경험한 일일 것이다.

 

지난 강좌에서 언급하기도 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오늘은 기본적인 방법 하나를 얘기하려 한다. 에델바이스처럼 산야에 외롭게 핀 꽃들도 있지만 대부분 여러 송이가 무리지어 피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 꽃 중에 한 송이를 카메라 파인더 가득 차게 접사로 꽃을 촬영하는 것도 물론 좋은 방법이지만 여러 송이의 꽃이 서로 자랑하듯 피어 있는 주위를 살펴보고 배경이 되는 풍경과 함께 찍어 보면 정말 멋진 사진이 된다. 즉 풍경 속에 곱게 피어난 주 피사체로서 꽃을 담으면 얘기가 있는 사진을 만들 수 있다.

 

이런 때에도 주 피사체인 꽃을 또렷하게 나타내기 위해 조리개를 충분히 개방시켜주어서(즉 조리개 수치를 적은 쪽으로) 배경을 아웃포커싱(배경 흐림)을 해주는 것이 좋다.

주피사체인 꽃과 풍경인 배경이 선명하게 초점이 맞는다면 꽃의 주제가 나타나지 않는

풍경 사진이 되고 말 것이다.

 

그러면 어느 정도의 구성으로 꽃을 배치할 것인가?

이런 경우도 삼등분할의 원칙을 적용하여 꽃이 1/3, 배경이 2/3 정도의 비율로 화면을 구성하면 안정적인 사진이 된다.

 아울러 배경이 되는 풍경도 꽃과 어울려야 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눈에 즉각 보이는 피사체에 마음을 뺏기고 그것만을 찍기에 바빠 배경을 돌아 볼 겨를이 없다. 마음에 와 닿는 꽃을 발견하고 그 꽃을 찍기에 열중하기 보다는 꽃을 둘러싸고 있는 배경과 색감, 구도 등을 여유롭게 생각한 후에 셔터를 누르는 것이 사진 잘 찍는 방법이다.

버려야 할 열 장의 사진을 찍기 보다는 똘똘한 한 장의 사진을 찍는 것이 시간이나 경비 측면에서 경제적이다.

 

                                                         첨부이미지 

 


출처 : http://cafe.daum.net/-can-/He1e/25 

                                                  

 

 

                 사진강좌(15)/주밍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제 포스팅한 "사진강좌(14)/이렇게 하면 사진이 좋아진다-01"의
수평맞추기 편에 올려진 사진에 대하여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았다.
어제 강좌는 그 사진의 촬영기법이 주제가 아닌 수평의 중요성과
사진 촬영에서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참고하여야 할 사항들을
사진을 곁들여 서술하였다.
예시로 올려진 사진이 일반적 사진이 아닌 창조적 기법의 하나인
주밍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 글의 앞 부분에 올려진 사진이 같은 종류이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찍은 사진이다.

주밍기법은 예전에 다른 사진과 함께 설명을 한 적이 있다.
이 방법도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은 영상이 맺히는 렌즈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우선 위 사진의 촬영데이터를 먼저 보자.
캐논 EOS500D 조리개 22.0 셔터속도 1/60  ISO100 렌즈33mm.
사용렌즈가 18~135mm 망원 렌즈로서 최대조리개가 3.5~5.6의
가변조리개이고 최소조리개는 22이다.
촬영시점이 대낮이여서 조리개를 최소조리개 수치인 22.0 까지
조이니 셔터속도가 저속인 1/60초가 되었다.
주밍을 하기 위해서는 더 느린 셔터속도가 좋다.

저속셔터속도이므로 손으로 들고 찍으면 흔들릴 뿐만 아니라
셔터를 누르는 순간 망원렌즈를 돌려 피사체를 끌어 당겨야 하기에
손에 들고서는 도저히 촬영을 할 수 없다.

우선 망원렌즈의 가장 화각이 넓은 18mm에서 사진의 가운데 있는
여자 조각상에 초점을 맞춘 후  셔터를 누르는 순간 왼손으로
망원렌즈의 줌링을 앞으로 끌어당겨, 즉 렌즈가 열려있는 1/60초동안
피사체를 끌어당기는 것이다. 줌인하는 것이다.
초점이 맞은 가운데 여자조각상은 같은 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다른 조각상들과 달리 선명하게 된다.
이러한 촬영기법이 주밍이다.

이 기법으로 정확하게 촬영하기가 만만치 않다.
수십 번을 통하여 제대로 된 사진을 한 장을 얻기도 한다.
평범한 사진 보다는 색다른 사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달려 오는 듯한 사진이 되었다.

 

                                첨부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can-/He1e/24 

                                                 

 

    사진강좌(14)/이렇게 하면 사진이 좋아진다 -0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번 시작된 위 주제의 사진강좌에 이어지는

첫 번째 내용으로 수평잡기에 대한 세부내용이다.

 

역동감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기울게 찍는 경우도
있지만 사진의 화상이 수평이 맞지 않게 되면 사진이
불안해 보여 좋은 사진이 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피사체를 찍는 데에 열중하게
되어 수평을 맞추는 등의 일에는 소홀하게 된다.

수평잡기는 그리 어렵지 않고 특히 콤팩트 카메라의
경우는 찍혀질 화상을 LCD창으로 직접 보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을 맞추기가 쉬운 편이다.
LCD화면이나 카메라 뷰파인더에 격자선이 표시되는
카메라일 경우엔 그 격자선에 맞추어 촬영하면 된다.
다만 뷰파인더로 보면서 찍는 경우는 눈을 뷰파인더에
밀착하지 않게 되면 격자선에 맞추었다고 하더라도
인화하여 보면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뷰파인더로 보면서 찍을 경우에는 가능한 눈을 바짝
붙여서 피사체를 보아야 한다.
원근법에 의해 눈을 가까이 붙이지 않으면 화면이
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한 프로그램에서 수평을 쉽게 맞출 수 있다.
재차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고 시간을
낭비하기에 사진을 찍을 때에 신경을 조금 더 쓰는
편이 좋다. 포토샵에서 수평을 맞추게 되면 일부의
화면이 잘려 나가기 때문에 원하는 구도의 사진이
되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첨부이미지                     첨부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can-/He1e/23 

                                             

            사진강좌(13)/ 이렇게 하면 사진이 좋아진다

 


 
요즘은 카메라가 대중화하여 많은 사람들이

사진에 쉽게 접근하고 있다.

카메라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다양한

디지털기기로 사진을 촬영한다. 남녀노소가 따로 없다.

또한 사진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도 많이 늘고 있고

시청이나 구청, 주민자치센터에서도 사진강좌가 열려

사진을 배울 수 있는 기회도 많다.

초보자들이나 사진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어떻게 하면

사진을 잘 찍을 수 있는지를 자주 묻곤 한다.

나도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이 생각 없이 눈에 보이는

대로 찍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찍은 사진은 대부분 불안정하게 보이거나

산만해 보인다. 그렇기에 다음의 다섯 가지만 주의한다면

더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사진촬영의 기본이다.

첫째, 수평을 맞춰 촬영한다.

둘째, 삼등분할법에 맞춰 찍는다.

셋째, 배경을 깔끔하게 한다.

넷째, 사진에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와 부제를
        함께 담는다.

다섯째, 한 장의 사진에 너무 많은 것을 보여
        주려 하지 말고 깔끔한 화면을 만든다.

 

앞으로 위의 방법들에 대하여 얘기를 이어가고자 한다.

[위의 사진은 며칠 전 절두산 성지에서 벤치에 앉아 묵주를
  돌리며 기도하는 노인의 손에 한줄기 빛이 내려앉아
  나의 시선을 붙들었습니다]

 

               첨부이미지            첨부이미지

 


사진강좌(11)/황금분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은 예술의 한 분야다.
미술이나 조각, 건축 등
대부분의 예술작품에는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있기 마련이며
그 내용을 표현하는
방법의 하나가 구도다.
촬영할 피사체가
정해지면 그 피사체를
화면의 어느 위치에 오게 할 것
인지를 생각하게 된다.
피사체가 놓여 질 위치나 배경 등 사진화면에서의 전체적인
짜임새를 구도라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 공간의 조화가 가장 잘 되고 아름다운 느낌이
뛰어난
화면 구성을 발견하였는데 그것이 황금분할이다.
사람이 가장 안정된 시각으로 받아들이는 기하학이나 자연의
모습을 숫자로 환산했을 때 세로와 가로의 비율이 약 5:8 또는
1:1.618 정도의 비율이 되는데 이 비율을 도형화한 것이
황금분할이다.
지금은 보기가 힘들지만 예전의 휴대용 작은
성냥통도 그런 비율로 만들어졌다.

                                  [가로 1.618 : 세로 1]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교차하는 A, B, C, D 지점에 피사체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 위치에 사진의 주제나 중심이 되는 피사체를 놓게 되면 가장
안정적이고 아름답게 보이게 되기에 사진 구도에 많이
활용된다.

  *적용사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삼등분할(삼분법)

황금분할을 근간으로 하여 사진을 촬영할 때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쉬운 구도법이다. 황금분할은 가로 세로의 대비가
숫자적으로 복잡하여 이를 단순화한 것이 삼등분할로 보면
좋겠다.
화면을 세로 가로 3등분할하면 2개의 수직선과
수평선이 그려지고
4개의 만나는 점이 생긴다.

이들 선이 만나는 AB, DC, AD, BC선상에 주 피사체를
배치하고 찍으면 황금분할과 같이 안정감 있고 보기 좋은
사진이 된다는 것이다.

사진을 찍으면서 보게 되는 화면에서 삼등분할 점이나
선상에 주피사체나
중심이 되는 피사체가 놓이도록 앵글을
잡은 후 촬영하는 버릇을
들이면 좋다.
요즘 카메라들은 LCD나 뷰파인더 상에 삼등분할의
격자선이 그려져 있어 구도를 잡기에 편하다.

아래 위가 양분되는 구도는 없다.
위쪽의 피사체와 아래쪽의 피사체, 또는 좌우의 피사체를
양분하면 좋지 않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적용 사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cafe.daum.net/-can-/He1e/22

어르신 배움터에서 펌글입니다

사진강좌(10)/화이트밸런스|          

출처 :  http://cafe.daum.net/-can-/He1e/21 

 

 

                                           사진강좌(10)/화이트밸런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을 하다보면 많이 듣게 되는 용어 중에 하나가  “화이트밸런스”이지 싶다.
카메라의 렌즈는 사람의 눈과 같다고 생각하면 카메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리가 먼 곳을 자세히 보고자 할 때는 실눈을 뜨고 가까이 있는 물체를 자세히
보려면 눈을 크게 부릅뜬다.
실눈을 뜬다는 것은 눈동자를 줄이는 일이고 크게 뜬다는 것은 눈동자를 넓히는
일이다. 렌즈를 조이고 여는 것을 처음엔 잘 구분이 되지 않는다.
렌즈의 조리개 숫자가 커지면 조이는 것이고 숫자가 작아지면 여는 형태여서
종종 헷갈리기 십상이다. 숫자가 크면 렌즈도 크게 열린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리개 1.4(f1.4)는 조리개 22(f22)보다 엄청나게 조리개를 넓힌 것이다.
숫자가 커지면 조리개 구경이 작아진다.
숫자가  작아지면 작아질 수록 렌즈구경은 커진다.
                              첨부이미지
   
사물을 보는 사람의 눈과 비교해두면 기억이 쉬울 것이다.
사진 촬영에서도 먼 곳까지 선명하게 나오게 하려면 렌즈의 구멍을 작게 조여야
하고(렌즈의 조리개 수치가 커짐) 가까운 피사체를 선명하게 찍으려면 조리개를
넓혀야 하는 것과(조리개 수치를 작게) 같은 이치이다.

 

더 먼 곳을 가깝게 보려면 망원경을 사용하듯이 사진에서도 먼 곳을 가깝게
촬영하려면 망원렌즈를 끼우게 된다. 햇빛이 강하면 색안경을 쓰듯 카메라도
필요한 경우 필터를 장착하게 되는 것도 같은 이치이다.

다만 한 가지 틀린 것이 있다.
사람의 눈은 흰색을 흰색으로 감지하나 카메라는 흰색을 흰색으로 인지하지 못한다.
카메라는 18%의 회색을 흰색으로 인지한다.
그렇기에 흰색을 흰색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장치가 화이트밸런스다.

자동, 그늘, 구름, 플래시, 태양, 형광등, 백열등, 커스텀모드(카메라 제조회사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다) 등으로 설정을 변경하여 흰색이 흰색으로 나타나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색온도를 중심으로 하는 캘빈도 조정도 있다.

그러나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
대부분의 카메라 제조 회사들이 만든 “자동모드”화이트밸런스가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설정하여 두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이상이 없다.
그리고 RAw(앞의 강좌에서 언급되었음)라는 화질로 사진을 촬영한 경우라면
컴퓨터에서 마음대로 바꿀 수도 있다.

 

                                첨부이미지   

이 화이트밸런스를 이용하여 색다른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노을을 촬영할 때에 노을빛을 더욱 붉게 나타내기 위한다면 화이트밸런스를
“그늘모드”나 “구름모드”로 설정하게 되면 더 붉게 촬영된다.
그 뿐만 아니라 붉은 색조가 필요한 경우에도 같은 방법을 쓰면 된다.

하늘이 무척 푸르게 나오게 하려고 할 때나 푸르스름한 색조가 필요한 경우는
형광등모드나 백열등모드로 설정하면 된다.
한번 응용하여 보면 이해가 쉽게 갈 것이다

일반 디카나 DSLR의 경우 촬영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면 카메라 자체에서
화이트밸런스도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어 임의조절이 불가하다.
화이트밸런스를 필요에 따라 바꾸고자 할 경우엔 “자동모드”가 아닌
P(프로그램)모드, 조리개우선모드 셔터속도우선모드, 수동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첨부이미지

 



사진강좌(9)/카메라 아래위로 움직이기|          

출처 :  http://cafe.daum.net/-can-/He1e/20 

                                                    

               

                       사진강좌(9)/카메라 아래위로 움직이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콤팩트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많은 분들은
카메라를 자신의 눈높이에서 피사체를 향하여 사진을 찍고 같은 위치로
고정시켜 촬영한다.


지난 글에서 창조적 사진을 만들기 위하여 카메라를 아래위로
움직이거나 좌우로 돌리면 색다른 사진을 얻을 수 있다고 쓴 적이 있다.
오늘은 카메라를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움직여줌으로써
일반적 사진에서 벗어난 사진을 얻을 수 있음을 얘기하고자 한다.


위의 사진은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면서 대나무숲을 촬영 한 것이다.
물론 셔터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하여야 한다.셔터속도가 빠르면 순식간에
사진이 찍히기 때문에 흐름을 나타내기가 힘든다.


1/60초 이하로 느리게 설정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면서 셔터를 누르면 된다.
움직이는 속도에 따라 흔들림이 다르게 나타난다.
빠르면 더 흐려지고 느려지면 대나무가 좀 더 선명해질 것이다.


일반디지털 카메라여도 셔터속도우선모드나 수동모드, 조리개 우선모드로
설정한 후 촬영 할 수 있다.
요즘은 똑딱이도 놀랄 정도로 발전해졌다.


이런 방법으로 사진을 찍을 경우에 매번마다 좋은 사진을 얻지는 못한다.
작가들도 수차례의 촬영 끝에 한두 장의 사진을 얻는다.
거듭하여 연습을 하다 보면 방법이 터득될 것이다.

 

    첨부이미지



  출처:http://cafe.daum.net/-can-/He1e/17 

 

            사진강좌(6)/(형상)덕유산서 만난 백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덕유산에서 만났습니다.


눈이 많이 쌓이고 울긋불긋 등산복을 입은 행렬이 구불구불 산길에 이어집니다.
하얀 눈과 잘 어울립니다.     듬성듬성 서있는 나무의 가지들이 눈옷을 입었습니다.
고목 가지는 상고대가 되었습니다.   남쪽 하늘에는 어슴푸레 무지개가 걸렸습니다.
발목까지 빠지는 눈이 발걸음을 더디게 합니다.
저 멀리 산자락이 검을 듯 선을 그리며 동양화 됩니다.

낮고 높은 산봉우리들이 어깨동무 하고 있습니다.
높다고 시샘하지도 않습니다. 낮다고 얕보지도 않습니다.
나쁜 사람 좋은 사람 구별도 하지 않고 모두를 환영합니다.
혼자 와도 둘이 와도 떼로 몰려 와도 지켜만 봅니다.
눈이 와도 비가 내려도 짜증내지 않습니다.


향취 좋은 나물도 자라고 독초도 자라게 둡니다.
스님도 지나가고 크리스천도 지나갑니다.
만신도 촛불 켜고 기도합니다.

산은 산입니다. 산의 마음은 헤아릴 수 없이 넓습니다.
산을 찾는 이유입니다. 고사리 손으로 젖가슴 만지작 거리며
어머니 숨소리 듣던 한없이 포근했던 어머니 품이 그리워서입니다.


안긴다는 것은 평안을 의미합니다.
산에 오르면 마음이 편안해지는 이유입니다.

눈이 하얗게 덮인 산등성이 나뭇가지 사이에서
하얀 백곰 한 마리 그 산을 구경하고 있습니다.
바위 틈새 겨울잠 자는 곰을 대신하여
어젯밤 하늘이 사람들에게 보내 주었나 봅니다.
도망갈세라 렌즈에 가뒀습니다.

시선을 여러 갈래로 하여 사물을 보다 보면 다양한 형상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평범한 시선으로 보면 평범해 보이지만 새로운 시선으로 다시 보면 재미있는
자연이 그려 준 모습들을 쉽게 만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유명한 사진작가 한 분은 구름을 찾아 헤매다가 만난 히로시마 핵폭탄 폭발의
모습과 비슷한 구름 사진 한 장을 찍어 수 억원의 값을 받았습니다.


꺼진 불도 다시 보듯 지나가는 길목에 있는 사물들을 유심히 살펴보는 마음을
갖는데서 재미난 형상의 피사체를 발견하게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