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모드에 대해 검색해 보니요

DSLR 카메라 모드 연습이라는 제목의 글이 하나 있어서

시험 삼아 메뉴얼모드로 촬영을 해보니요

노출에 대하여 알수 있을듯 하여

참 좋은 자료 라 생각 하여

링크를 걸어 두었네요

여러분도 한번 찍어보시기 바랍니다 

http://omnislog.com/1069

'살아가는 이야기 > 사진을 배워 보려구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촛점 맞추기  (0) 2018.01.07
사진 배우는게 어렵네 초점 맞추기도 못해  (0) 2018.01.05
노출  (0) 2017.12.26
카메라 모드 설정  (0) 2017.12.21
흑백사진 찍기  (0) 2017.12.21

TTL ( through-the-lens; to take leave; transistor transistor logic )


셧터스피드 : 1 2 4 8 15 30 60 125 250 500 1000 2000 4000 8000


조리개 : 1.2   1.4  2  2.8  4.0  5.6  8  11  16  22  32  44


감도(ISO) : 1   25  50  100  200 400  800  1600  3200  6400  12800   H!   H2


촛점 모드   MF : 최단 거리   무한대거리 AF-L / AE-L을 누르고 MA 미세 촛점 가능


---------------------------------------------------------------------------------------

사진관련 글을 읽다보면 그레이카드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또한 눈덮힌 들판을 찍을땐 +2 스탑만큼 보정하라 머 이런 말도 보셨을겁니다.
그냥 한번 편하게 읽어보세요..^^;


옛날에 Ansel Adams라는 유명한 사진작가가 있었답니다..
사진시험이런데도 곧잘 나온다니 사진관련으로 많은 일을 했나봅니다만..
이 사람이랑 Fred Archer라는 사람이 존(zone)시스템이란걸 만들었답니다.

 

존시스템은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노출에서 인화까지의 톤을 예상하고 찍을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인데요
(사실 이런 전문적인 부분까지는 저도 아무생각없습니다..^^)

 

빛이 닿지않는 검정색(0)부터 제일밝은 흰색(10)까지 11개로 나누어서
존스케일이란걸 만들었습니다.

 


 

각 각의 존은 1stop씩 즉 빛의 양이 2배씩 이루어집니다.

참고로 stop이란 말은 모든 카메라시스템에서 빛의 양이 2배로 늘어날때 사용합니다
조리개가 f1.4에서 f2로 2배 늘어나는것도 1 stop (수치는 루트2배지만 면적이므로 2배)
셔터스피트가 1/500에서 1/250으로 2배 늘어나는것도 1 stop이라고 합니다.

 

딱 이렇게 만들어놓고 보니 정가운데 위치한 5번존은 중간회색으로써
너무 밝지도 너무 어둡지도 않아서 질감을 나타내기가 가장 좋은 색이 되고
이러한 빛을 측정해보니 18%반사율을 가지는 회색이더라 이거죠.

 

요즘의 대부분의 카메라는 자체 노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노출계가 화면에 빛을 측정해서 적정 노출을 구해주고
완전자동이거나 반자동(Av, Tv같은)모드는 이 적정노출로 사진을 찍게되죠..

 

바로 이 적정노출의 기준이 되는것이 바로 5번존, 즉 18%반사율을 가지는 빛을 말합니다.

즉 뷰파인더에 보이는 부분의 빛을 측정한후
18%반사율을 가지는 빛 만큼만 들어오도록 조리개나 셔터를 조절하는 것이죠.

 

좀 괜찮은 디카라면 평균분할측광이니 중앙부중점측광, 스팟측광이니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평균분할 측광은 뷰파인더로 보이는 화면 전체를 골고루 나누어 놓은 다음
각 구역별로 빛의 양을 측정합니다.
그런다음 측정한 양의 전체 평균을 구해서 이 수치가 18%반사율정도가 되도록 맞추게되죠.

 

중앙부중점측광은 대부분의 경우 찍고자하는 대상이 가운데에 있더라 하는 생각에서
화면전체가 아니라 중앙의 일부분만을 측정하는 경우이고

스팟측광은 화면가운데의 아주 작은 부분만을 측정하는 경우입니다.

 

이 측광방식은 각 카메라회사마다 보다 정확한 측광을 위해서 다양한 방식을 개발하고들 있습니다.
이 측광능력이 떨어지면 요즘같은 디카야 화면 보고 다시 찍으면 되지만
옛날 필름카메라 시절이면 당장 카메라 바꿀 문제겠죠..

 

쉬어가는 한마디로 많은 사진가들은 어떤 촬영모드를 가장 많이 사용할까요?
보통 생각하기 전문가라면 메뉴얼(풀수동)모드를 많이 쓸거같지만
일반적인 경우 조리개우선모드(Av 또는 A)모드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스포츠경기이거나 플래시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셔터우선모드(Tv 또는 S)를 주로 사용하구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일단 자동이니 편하고, 한눈에 이 상황의 적정노출을 수동으로 맞출 능력이 없다면
한가하게 요렇게 저렇게 바꿔보면서 찍을 시간이 없다는거죠..
심도가 중요하냐 움직임이 중요하냐를 가지고 Av냐 Tv냐를 선택하고
필요한 경우 노출보정기능을 사용하는 경우가 훨씬 많답니다..
이러니 각 카메라 회사들이 보다 정확한 측광방식을 개발하는데 사활을 거는 이유를 아시겠죠?

 

다시 측광방식으로 돌아가서요..
요즘은 워낙 카메라의 측광이 훌륭하여
대부분의 상황에서 자동모드를 사용해도 좋은 사진을 찍습니다.
근데 왜 노출보정기능이라는것이 있어서 +1 조정하라는 둥 -1/2 하라는 말이 있을까요?

 

처음 얘기했던 눈덮힌 들판은 +2 노출보정을 하라-는 말의 이유를 알아봅시다..
러브스토리의 염장씬을 옆에서 찍고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여러분의 카메라는 평균분할방식으로 화면을 쫙 나눈다음
각각의 구역의 빛을 측정합니다.

 

1번구역은 눈이라 좀 하얗네. 대략 7번존정도 밝기이군
2번구역도 눈이라 좀 하얗네. 역시 7번존정도 밝기로..
어라 3번도, 4번도, 5번도.. 다 하얗네~~

 

눈밭이라 죄다 하얗다 보니 각 구역의 값을 구해서 평균을 구해도 7번존정도의 밝기로 나오는거죠
그러면 카메라는 아 너무 밝은 화면이므로 적정노출기준인 18%반사율을 맞출려면
들어오는 빛을 팍 줄여야겠구나 하고 생각하게 되는거죠
그래서 이상태로 그대로 찍으면 1/4정도로 어두워지고 하얀눈은 회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이럴경우엔 4배정도 빛을 더 받아야 원하는 색이 나오니
메뉴얼로 조리개나 셔터를 늘려주거나 간단히 노출보정을 +2해주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로 야경을 찍는다고 생각해봅시다.
평균을 구해도 3번존정도로 어둡다 보니 카메라는 빛을 더 받으려고 하게되고
그 결과 깜깜해야할 밤하늘이 밝아지고

가로등같은 조명은 지나치게 밝아져 번져버리는 일이 생깁니다.

 

이렇게 카메라의 노출계가 속아넘어갈때 쓰라고 그레이카드라는게 만들어졌습니다.
그레이카드는 5번존 즉 18%의 반사율을 가지는 중성회색을 정확하게 만들어놓은 카드입니다.

이걸 찍으려는 대상의 옆에다 두고 측광을 합니다.
  (물론 그레이카드가 측광범위에 가득 들어와야 합니다.
   평균분할방식이라면 화면가득채워야하니 스팟측광으로 해당범위에 쏙 들어오게하면 되겠죠?)

정확히 18%인 대상을 카메라가 측광을 하여 18%를 맞추니 당연히 정확한 노출이 구해집니다.

이때의 노출값을 확인한 다음 노출고정(EL 또는 AEL)을 눌러놓거나 메뉴얼로 그 수치를 맞춘다음
그레이카드를 치우고 찍으면 정확한 노출로 찍을 수 있다.. 이런 얘기인거죠.

 

그레이카드가 화이트밸런스를 맞추기위해 사용하는걸로 잘못알고 계시는 분들도 있던데
그레이카드 자체가 무채색인 중성회색으므로 또한 뒷면이 하얀색이므로

화이트밸런스를 맞출수도 있지만 역시 정확한 목적은 노출측정에 있습니다.

 

그레이카드는 코닥제품을 많이 쓰는데 A4만한 것도 있고 조그만한것도 있습니다.

 

그레이카드가 없을 경우의 대용으로
보통 사람 손바닥은 색소가 없어서 동양인이나 백인이나 흑인이나 비슷하다고 합니다.
(백미터달리기하는 흑인보셨죠? 하얀손바닥이 나타났다 없어졌다..^^)
이 손바닥이 약 36%정도의 반사율을 가진다고 합니다.
즉 요걸로 잰 다음에 1stop정도 노출을 낮추면 비교적 정확하다고 합니다.

 

노출을 1 stop 낮추려면 어떻게 해야되죠?

1. 조리개를 1stop 조인다
   - 1 Stop입니다.

     요즘카메라는 1Stop 을 더 세분화시켜놔서요. 1 - 1.4 - 2 - 2.8 - 4 - 5.6 - 8 -... 이런식으로요

2. 셔터를 1 stop 짧게한다 (역시 한단계가 아닌 1stop)

3. 간단히 노출보정을 -1 stop 낮춘다
   (따지자면 노출보정기능도 결국은 조리개나 셔터를 바꾸는겁니다.
    조리개우선모드에선 셔터가 바뀌고 셔터우선모드에선 조리개가 바뀌고
    수동모드에선 보통 조리개가 바뀝니다)

4. iso를 높인다

 

카메라 설정-picture control 설정-표준-윤곽강조(샤프니스)는 7~9 설

 - 노인의 얼굴 촬영시 주름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머리카락등 선이 샤프 하게 보인다

색조와 채도는 +1 설정  이상 표준 모드의 설정 이다

물론 카메라 기본 메뉴는 아니지만 picture control 을 표준으로 위와 같이  맞출때

붉은빛이 도는 사진을 찍을수 있고 밤이나 일출, 일몰일때 이 모드로 사진을 찍으면

아래 사진 처럼  붉은색 이 도는 사진을 얻을수 있다.



밤하늘 보름달 촬영 조건 : (ISO 640 / f3.5 s / ....)

'살아가는 이야기 > 사진을 배워 보려구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 노출 설정  (0) 2018.01.03
노출  (0) 2017.12.26
흑백사진 찍기  (0) 2017.12.21
촛불 촛점 맞추기  (0) 2017.12.21
1 STOP의 개념  (0) 2017.11.28

필터 사용

R(red 필터) = R(red 물체 )= 통과 옅은 색으로 보임

G(green 필터) + R(red 물체) = 검게 나타난다

모노크롬 모드로 찍은 흑백사진


▲ 위는 노란색 아래는 빨간색 red 필터 설정일때 빨간색은 빛이 통과하여 밝은 색이 된다



▲ 위는 노란색 아래는 빨간색 green 필터 설정일때 빨간색은 빛이 반사하여 검은 빛을 띠며 검게 나타난다

필터를 잘 이용 하면 하늘을  흑백 촬영시 하늘은 진하게 구름은 하얗게 도드라져 강렬한 빛으로 하늘에 핀 구름을 표현 할 수 있다

'살아가는 이야기 > 사진을 배워 보려구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출  (0) 2017.12.26
카메라 모드 설정  (0) 2017.12.21
촛불 촛점 맞추기  (0) 2017.12.21
1 STOP의 개념  (0) 2017.11.28
촬영모드 / 측광모드 / 촛점 / 노출에 대하여  (0) 2017.11.28
카메라 촛점 맞추기
불꽃 심지와 속불꽃 겉 불꽃 산화불꽃이 보여야
제대로 찍은 거란다
열심히 찍어보았지만 쉽지 않다 
오늘 촛불 제대로 찍지 않으면 수업 종료릏 할수 없댄다
열불 나게 찍어도 이게 제대로 찍은건지 ?
알수 없다 
선생님에게 내밀어 검사를 받았지만 
자기가 만족 할때 까지 찍어 보란다
자기가 만족해야 그게 제대로 찍은 사진 이랜다
다른이들은 감을 잡았다고 이야기 하는데
난 아직도 뭐가 뭔지 만족 스럽지 못하다
끝내 만족스런 사진을 얻지 못하고 수업은 끝이났다 
다시 연습 좀 더 해야 하나?!












'살아가는 이야기 > 사진을 배워 보려구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 모드 설정  (0) 2017.12.21
흑백사진 찍기  (0) 2017.12.21
1 STOP의 개념  (0) 2017.11.28
촬영모드 / 측광모드 / 촛점 / 노출에 대하여  (0) 2017.11.28
AF-L / AE-L 기능  (0) 2017.11.28

1. 셔터 스피드


B(Bulb)  1    2    4    8    15     30     60     125     250     500      1000     2000     4000      8000  (셧터 속도는 배수로 증가 15 /125 예외)

-------------------------------    ---    -----------------    ----------------------------

             저속 셧터 ←                  표준      →   고속셧터             순간적인 모션을 잡을때


2. 조리개

     1.2        1.4       2        2.8       4         5.6         8         11       16       22       32        44 (  한칸씩  1과  √2 의 배수로 뛰어넘어 증가 )

                ----                ----              ----                  ----               ---                ---

                  √2                √2*2                2.8*2              5.6*2                11*2             22*2

------------------------------------    ------     ------------------------------------------

                     심도가 얕다  ←              노출표준                → 심도가 깊다                          (야간 촬영시는 조리개를 최대로 개방  빛이 갈라지게 하려면 조일것)


3. 감도(ISO)

   50        100      200    400    800      1600      3200      6400     12800     25600   H1     H2

고 감도 일수록 빛 감지 결정체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빛을 산란 시켜 입자가 거칠어 지고 선예도가 떨어진다(노이즈가 커진다)

높은 이미지 품질을 위해 낮은 ISO 감도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밝기에서는 ISO100 이 표준


4. 마이크로 사진과 매크로 사진의 차이점

마이크로(MICRO)사진 : 현미경 사진 고배율

매크로(MARO)사진 : 접사 사진


5. 필터

-. UV 필터 : 자외선 제거  무색을 띄며 흑백 필름에 많이 사용

                 가시광선을 차단 하지 않고 자외선을 흡수한다.

                 맑은날 사진을 촬영할때 엷은 안개 등을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색온도는 최소의 영향을 , 노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PROTECT : 이 중성 필터는 컬러 밸런스를 유지하며 렌즈의 보호 역활을 한다

                   불필요한 빛의 반사를 방지하여 일반적인 촬영에 좋다

-. SKY LIGHT : 엷은 호박색을 띄며 맑은날 일광 노출을 사용하는 흑백및 컬러 필름에 모두사용

                      하늘과 물에서 반사되거나 그늘에서 나타나는푸른색을 감소 시켜 준다

-. ND필터 : 흑백과 컬러 필름 모두에 사용하며 렌즈로 들어오는 빛을 각 각 1/4(2STOP) 1/8(3 STOP)로 줄여 준다

                 조리개를 개방하여 노출을 확보할때 이상적이다.

                 광선이 좋은 낮 동안 저속 셔터를 확보 할수 있다

그외 SOFTMAY NO1,NO2   , 드롭 인 스크류 필터 홀더, 편광필터(PL)등이 쓰이고 있다

CCD 보호를 위해 CCD 앞 로패더 필터(에머널드빛)가 사용되어 적외선을 제거 한다










촬영모드

1. M (Manual) : 수동 촬영 모드

                        셧터와 조리개를 인디게이트(INDICATOR: 지시계)를 보고 임의로 수동으로 맞춤(의도적인 촬영 의미의 노출 조절등에 사용)

                        셧터/조리개 /감도 수동조절 촬영자가 의도하는 모드로 나타 낼수 있음(의도에 따른 촬영이 가능함

                        의도에 따른 촬영으로 셔터와 감도 조리개 조정은 중요치 않음-어떤 의도를 나타내기 위한 촬영인가를 생각 해야함

                        (촬영자 의도에 의한 노출 보정 필요)

                       M 모드에서의 표준 조리개값 F:5.6 셧터속도 실내 1/60" 기준 1/60" 이상 셧터속도를 고속, 1/60" 이하의 셧터속도를 저속이라고 함

2. A(AV)모드 : 조리개우선

                     조리개 값의 설정에 따라 셔터 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됨(피사계 심도 조절)

                     -. 최소조리개(조리개 수치가 가장 큰것-최소로 조여 준다) : 피사계 심도가 깊다.(풍경촬영 등-펜포커스)

                     -. 최대조리개(조리게 수치가 가장 작은것-최대 개방,최대로 열어준다) : 피사계 심도가 얕다.(전후를 흐리게 할때 : 주제강조등-아웃포커스)

3. S(TV)모드 : 셔터우선

                     셔터속도 조절에 따라서 조리개 값이 자동 설정됨(주의: 조리개 값을 최소로 설정해야함-최대개방)

                      -. 고속셔터 : 순간포착(스포츠 촬영)

                      -. 저속셔터 : 동감표현(폭포 촬영, 괘적 촬영등)

4. P 모드: 프로그램(PROGRAM) 촬영모드

                         광량에 따라 셔터와 조리개가 자동으로 설정됨(주의 : 조리개 값을 최소로 설정-최대개방)


측광모드

1. 분활측광 : 화면을 여러개로 나눠 측광하여 평균 노출값을 정함

2. 중앙 중점 측광 : 화면 중심부 양 8mm범위를 측정(배경을 도외시 하고 주재의 밝기만 측광)

3. 스팟측광 : 화면 중심부 약 3mm 범위를 측정(피사체와 배경의 명암 차가 많을 경우)


촛점모드(촛점 맞춤의 범위 설정)

1. S(Single Area) AF-S 고정 촛점: 일반적인 촬영시 :

                                                                         -. 촛점이 맞지 않으면 셔터작동이 되지 않음

                                                                         -.  촛점이 맞아설때 셔터를 반누름 하면 초점이 고정 된다

                                                                         -.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부분이 포커스 에리어를 벗어난 경우는 포커스록(AF-L)에 의해 초점을 고정 시킴

2.C(Comtitnuous) AF-C 동적촛점: 피사체의 움직이나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라 촛점이 이동하며 맞춘다(움직이는 피사체의 추적시)

3. AF-I(Ai Servo AF) : 피사체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 (촛점을 맞춘후 피사체가 움직이기 시작 하면 자동적으로 Ai Servo AF모드로 바뀜


4. M(Manual) 수동촛점 : 초점 조절이 잘안되는 피사체의 경우 수동으로 초점을 맞춤


AF가 안되는 렌즈의 촛점 맞춤

▷표와 ◁표의 표시에 의한 초점 맞추기

(1)수동으로 초점 맞춤 : 파인더내 지시표(▷◁)에 의해 촛점을 맞춤

◁표 : 후촛점 표시 : 목적 피사체보다 뒤쪽에 초점이 맞았을 경우 ◁표가 표시됨

▷표 : 전초점 표시 : 목적 피사체보다 앞쪽에 초점이 맞았을 경우 표가 표시됨

○표 : 촛점이 정확히 맞았을 경우 ○표가 표시됨

X표 : 촛점이 맞지 않았을 경우 X표가 표시됨


노출

1. 노출 : 감광재료(필름, CCD등)에 빛을 쪼여 주는것

             즉 렌즈가 맺은 피사체의 상을  필름, 또는 CCD에 감광 시키는 것

            -. 측광 : 촬영하고자 한느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셔터와 조리개를 조절해서 설정함(필름이나, CCD에 최적의 빛을 주기위한 행위임)

            -. 측광방식 : 분할측광, 중앙중점 측광,스팟 측광 방식이 있다

            -. 노출 보정 : 최상의 노출이 되도록 또는 의도적으로 노출을 더 주거나 줄이는것

                                피사체보다 배경이 밝은 경우는 노출 보정을 (+)쪽으로 피사체보다 배경이 어두운 경우는 노출을 (-)쪽으로 보정 한다(일반적인 노출 보정)

2. 감광도 : 필름이나 CCD가 빛에 반응하는 속도

            -. 표시방법 : ISO , DIN, EI, 등

            -. 설정 : 자동 설정(DX,) 수동설정(ISO 6-6400)

            -. 브라켓팅(B.K.T) : 한 피사체에 대해서 노출을 여러 단계로 주는것 (자동과 수동이 있음)


노출의 결정

◎ 흑화농도(D)=노광량(E)=조도(광속: 조리개값)I X 노광시간(셔터값)t  (D = I X t )

피사체의 밝기 : 계절, 시각, 일기등에 따라 변하고 다르다.

감광성의 특성 : 감광도와 감색성에 따라 다르다

피사체의 상태 : 피사체의 명암, 색채, 거리, 장소에 따라 다르다.

그 밖의 조건 : 채광, 필터, 피사체의 컨트라스트, 현상 조건에 따라서 다르다

색온도: 광원의 색을 나타내는 수치를 캘빈(kellvin)온도라고 하며 kº로 표시 한다.

kº = 섭씨온도 + 273º = 절대온도 (Kº)


 


'살아가는 이야기 > 사진을 배워 보려구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촛불 촛점 맞추기  (0) 2017.12.21
1 STOP의 개념  (0) 2017.11.28
AF-L / AE-L 기능  (0) 2017.11.28
야외촬영 수업-야간촬영  (0) 2017.11.27
탐론 렌즈 A/S 수리점   (0) 2017.10.02

AE-L : 자동노출 잠금(Auto Exposure Lock)


AF-L : 자동 촛점 잠금(Auto Focus Lock)


AF-L / AE-L 기능 : 셀렉터 버튼을 누르시면 초점을 옮길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반셔터 누르면 초점이 고정 됩니다.
                               가. 선택한 초점 포인트에 피사체를 배치하고 셔터 버튼을 반누름 하여 초점을 맞춥니다.
                               나. AF-A 및 AF-C 초점 모드에서 셔터 버튼을 반 누름한 상태에서 AE-L/AF-L 버튼을 눌러 초점과 노출을 고정 합니다.
                                    초점을 때더라도 AE-L/AF-L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초점이 계속 고정 상태로 유지 됩니다.
                               다. AF-S 초점모드에서 반누름을 하면 초점이 고정되고 AE-L/AF-L 버튼을 눌러 노출을 고정 할수 있습니다.
                               라. AE-L/AF-L 버튼을 초점 고정으로만 사용 할때는 사용자 설정 F4 : AE-L/AF-L 버튼 설정에서 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셔터를 반누르면 AF 동작을 합니다.
이때 AF-S 모드라면 그 AF 맞은 상태를 유지할 것이요
AF-C 모드라면 AF 맞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서 초점을 따라 이동한다면 그쪽으로 계속 이동할 것입니다.
기본값에서 반누름 AE 고정 은... off 로 되어있습니다.
초점 맞춘 후 구도변경을 하면, 새로운 구도에 측광이 맞도록 되는 세팅입니다.
풍경사진을 찍으며, 멀티측광을 하는 경우라면 이게 맞을겁니다.
저 같은 경우는 전체의 측광보다는 주 피사체의 측광을 더 중시합니다.
주 피사체에 초점이 맞고, 주 피사체가 적절한 노출값으로 나오길 바라는 경우지요.
그래서 저는 전체 구도 중에서 원하는 주 피사체에 초점 및 노출값이 맞도록
측광모드는 중앙중점, 반누름 AE 고정을 on 으로 해놓습니다.
그래서 AF-S 모드에서 반누름 AE 고정 on 해두게 되면
원하는 부위에 초점과 노출값을 정하여 고정하고, 약간의 구도조정 후 촬영할 수 있습니다.

AE-L / AF-L 버튼의 설정




" AE-L 릴리즈로 리셋 " 으로 선택하면 필플래시 촬영시 상당히 유리합니다.
기본 배경보다 주 피사체가 좀 더 어두운 상황이라는 가정하에
 기본 배경에 걸맞도록 측광을 해서 측광 고정을 해둔 상태에서
i-TTL 플래시 발광하며 주 피사체를 촬영하면
 주변 배경도 살리고, 주 피사체도 살리는 필플래시 촬영을 하는데 상당히 편합니다.

이때 역광이 좀 더 강한 상태라면,
기본 측광은 멀티 또는 중앙중점으로 해서 배경측광을 해서 고정해두고
 피사체에 플래시 발광할 때에는 스팟측광으로 플래시 발광한다면
 더욱 정교한 필플래시 촬영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바디의 측광버튼과 펑션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더욱 맞는 설정을 해두시면 편합니다.
펑션버튼을 스팟측광 간이설정으로 해두시면 
기본 측광을 멀티로 해놓고 측광해서 노출고정 눌러놓은 상태에서 
펑션키 누른상태에서 플래시 발광하면,
플래시 발광량을 위한 i-TTL 조광은 
스팟측광한 부위가 적정조광되었을 때 멈추게 될겁니다. ^^*

이러한 필플래시까지 염두해 둔다면,
제가 하고있는 세팅으로 촬영에 임하시는게 더욱 쉬울수도 있을겁니다.
물론 이것도 하나의 예시일 뿐,

자신의 촬영 노하우에 따른 자신만의 기법으로 촬영하시면 됩니다.

 <slr에서 옮겨온 글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