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은 말이 집으로 돌아가듯

 

 

한 선비가 여종과 더불어 자주 밀통을 하다가

아내에게 한 번 발각된 후로 계속 들통났다.

​그래서 선비는 친하게 지내고 있는 한 벗에게

조언을 구하기 위하여 상의했다.

​"여종과 놀아나는 것이 재미치고는 별미인데

매번 아내에게 들키니 무슨 수가 없겠는가?"

​"내게 묘안이 있으니 그대로 한번 실행해보게."

​여종과 밀통하는 열가지 요령이 있으니 이를

간비십격(奸婢十格)이라 한다.

​첫째는, 굶주린 호랑이가 고기를 탐하듯 하는

기호탐육격(飢虎貪肉格)이니,

​이건 그대가 여종을 품어보고자 하는 결심의

단계를 말하는 것이요,

​둘째는 백로가 고기를 엿보듯 하는 백로규어격

(白鷺窺魚格)이니,

​이건 품어보고자 하는 여종이 어디에 있는가를

잘 엿보아 두어야 함을 말함이요,

​셋째는 늙은 여우가 얼음 소리를 듣는 듯 하는

노호청빙격(老狐聽氷格)이니,

​아내가 깊은 잠이 들었는지를 엿보고 살펴봄이

물고기를 잡으려는 여우가

​얼음판에 귀를 대고 얼음아래 노는 고기 소리를

듣듯 해야 함을 말함이요,

​넷째는 매미가 껍질을 벗듯이 하는 한선탈각격

(寒蟬脫殼格)이니,

​이것은 밤중에 아내 몰래 몸을 살며시 이불에서

빼어내는 것이 매미가 허물을 벗듯 함이요,

다섯째는 고양이가 쥐를 희롱하는 것처럼 하는

영묘농서격(靈猫弄鼠格)이니,

​이것은 여체를 여러 가지 기교로 희롱함이 마치

고양이가 쥐를 희롱하듯 하여야 함이요,

​여섯째는 매가 꿩을 차는 듯이 하는 창응박치격

(蒼鷹搏雉格)이니,

​이것은 여체를 희롱하다 번개처럼 빨리 눕히는

과단성을 말함이요,

​일곱째는 옥토끼가 약방아를 찧는 것처럼 하는

옥토도약격(玉兎搗藥格)이니,

​이것은 눕혀놓은 여체의 옥문속에 양물을진퇴

시킴이 옥토끼가 방아를 찧듯 해야 함이요,

​여덟째는 용이 여의주를 토하듯 하여야 하는

여룡토주격(驪龍吐珠格)이니,

​이것은 양물을 진퇴시키다 사정을 할때 용이

여의주를 토해내듯시원하게 해야 함이요,

​아홉째는 오나라의 소가 달빛을 머금듯 하는

오우천월격(吳牛喘月格)이니,

​이것은 사정후 피로하여 급해진 숨결을 빨리

조용하게 안정시켜야 함을 말함이요,

​열번째는 늙은 말이 집으로 돌아가듯이 하는

노마환가격(老馬還家格)이니,

​이것은 숨결을 고른 후에 자기 방으로 돌아가

마침내 아내 옆에 조용히 잠들기를

​늙은 말이 집에 돌아갈 때와 같이 조심스러이

하여야 함을 말함이라.

​선비는 그 후로 이를 일러준 친구를 십격선생

(十格先生)이라 부르며 공경하였다 한다.

- 옮겨온글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