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황사가 참 예쁜 절이다는 생각을 해 본다

절 보다 미황사를 품고 있는 달마산의 산세가 너무 좋아 보인다

미황사 곳 곳을 둘러 보며 참 정갈하다는 생각을 했었다

한쪽에서는 템플스테이를 하고 있고 템플스테이에 참석한 이들중 외국인도 간혹 눈에 띄인다.

햇살이 비치면 드리워진 그림자가 아름다운 절이라는 생각도 든다

곳곳이 다니며 사진으로 담아 보지만 짧은 일정 으로 속속들이 보지 못한 것이 조금은 아쉽다

그 만큼 볼거리가 많고 아름 다운 곳이 많아서 이리 라 생각 한다

---------------------------------------------------------------------------------------------------------------------------

미황사는 남해의 금강산이라 불리는 달마산(489m) 서쪽에, 우리나라 육지의 사찰 가운데 가장 남쪽에 자리한

미황사는 신라 경덕왕 8년(749년)에 세워졌다.
불교가 한창 흥할 때는 불교의 요람이 되어 스님도 많았고 주위에 12암자를 거느리고 있었다.
미황사는 조선시대 중.후기에 걸쳐 이 같은 융성을 거듭하다 100년전 주지 혼허(渾墟) 스님이 중창을위해

모금차 군고단(軍鼓團)을 이끌고 완도와 청산도를 가다 배가 조난을 당한 뒤에 점차 퇴락하게 되었다고 한다.
퇴락한지 100년이 흐른 후, 현재 미황사에 주석하고 있는 지운스님과 현공스님,

금강스님이 1989년에 주인없이 비어 있던 미황사를 찾아 흔적만 남아 있던 명부전,

삼성각, 만하당, 달마전, 부도암 등을 복원하고 퇴락한 세심당을 다시 일으켜 세웠다.
10여년 간 중창불사 원력을 세워 끊임 없이 노력한 결과 이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찰로 면모가 일신되었다.
현재의 전각은 대웅보전 (보물 947호), 응진당 (보물 1183호)과 명부전, 삼성각, 만하당(선원),

달마전(승방), 세심당(수련원), 요사체(후원), 향적전(객실), 안심료(후원), 자하루(누각), 하심당이 반듯하게 자리하고 있다.
서해바다로 지는 화려한낙조와 수려한 달마산을 배경으로 한 미황사는 방문객들에게 늘 즐거운 풍경을 제공해준다.
우선 뒤편의 산자락과 잘 어울리는 위치에 알맞은 규모로 자리잡은 절터와 대웅보전의 앉음새에서 편안함이 느껴진다.
특히 대웅보전 주춧돌에는 다른 곳에서 보기 드문 거북, 게 등 바다생물이 새겨져 있으며,

가뭄이 들 때 걸어놓고 기우제를 지내면 비를 내리게 한다.
괘불(보물1342호)과 대웅보전이나 웅진전 안 벽과 천장에 그려진 18세기의 벽화들,

응진전과 명부전 안에 모셔진 보살, 나한, 동자, 신장상 등 조각을 살피는 재미가 사뭇 크다.
대웅보전 앞마당에는 긴 돌확이 있어 항시 맑은 물이 찰랑거리고, 그 앞을 가로질러 오른쪽 숲속으로 난 길을 들어서서

소나무와 동백나무 사이로 길을 따라 10분 정도 가면 부도 밭에 닿는다.
부도마다 거북, 게, 새, 연꽃, 도깨비 얼굴 등이 새겨져있어 한적한 산속에서 뜻밖에 꾸밈없는 표정들을 만날 수 있다.
절에서 산 정상까지는 약 1시간 거리로 기암괴석이 들쭉 날쭉 장식하고 있어 거대한 수석을 세워 놓은 듯 수려하기 그지없다.
이곳에서 보는 다도해와 서해의 낙조는 매우 아름다우며, 절 바로 아래에는 동백나무 동산이 아름답게 펼쳐져 있다.

* 문화재 - 대웅전(보물947호), 응진당(보물 1183호), 괘불(보물 1342호)
대웅보전은 미황사의 중심 전각이다.
한 가운데에는 석가모니불, 좌우에는 아미타불, 악사여래불이 모셔져 있다.
1598년 중창하였고, 1660년, 1754년, 1982년, 2007년에 거듭 중수하였다.
내부의 대들보와 천장은 산스크리트어 문자와 천불도로 장엄되어 있는데

그 아름다움이 인도의 아잔타 석굴 벽화, 중국 둔황막고굴의 천불벽화에 비견되어지기도 한다.
응진당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가운데 신통력이 뛰어난 16분의 아라한들을 모신 전각이다.
응진(應眞)은 참다운 존재의 실상을 환히 깨닫고 해탈에 이른 이들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인 '아라한'의 한자어이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대웅전과 함게 중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내부 벽면에는 수묵으로 그려진 나한 벽화가 있는데 선(禪)의 경지를 보여주는 유려한 선(線)맛으로 이름이 높다.


관련 홈페이지

미황사 http://www.mihwangsa.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