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야화 황진이(제17화)
지리산에서 금강산으로 오는 사이에 겨울이 훌쩍 지났다.
이사종과 삼년이나 한양에 살았으나 자유의 몸이 아니라 가고 싶은 곳엔 가보지 못해 이번엔 관심있는 곳을 둘러보려 하는 것이다.
가보고 싶은 곳은 역시 장악원(掌樂院:현 국립국악원)이다.
소세양과 계약결혼을 했을 때 자기 소실로 들어와 장악원에 다니면서 공부를 더 하여 이론은 더 배워 후세에 남기면 어떠냐고 제의했을 때가 떠올라서다.
이제 진이는 기생이 아니고 떳떳한 자유인이지만 한량들은 진이가 여전히 기생으로 알고 돈으로 사려한다.
진이는 그것이 싫고 남자의 여자가 아닌 여자의 남자들을 만들려는 것이며 그러려면 그들을 뛰어넘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조선은 사대부의 나라이고 억불숭유의 조선에선 엄격한 신분제로 사농공상(士農工商)의 계급이 뚜렷하다.
사(士) 다음에 농(農)이 있음도 눈여겨 볼 대목이며 사대부들이 벼슬길에 나가지 못하면 대부분 고향과 시골로 내려간다.
그것은 다음 과거에 나올 생각에서고 장사 등 직업을 가지면 아예 과거볼 자격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조선의 사내로 태어났으면 등과(登科)하여 어사화(御史花)를 꽂고 금의환향하여 사대부의 위상을 보여주고 싶을 게다.
그런 사대부의 나라에서 진이는 여자의 남자를 찾았고 소세양·이사종·지족선사·이생 등을 품었으나 화담 서경덕은 끝가지 노력했으나 스승으로 삼고 그의 제자가 되었다.
한양의 풍류객들은 새로운 것을 찾았고 한양기생들에게선 더 이상 새로운 사랑과 풍류를 찾을 수 없어 색향 송도의 명월에게로 발길을 돌렸다.
진이는 화대를 받고 몸을 내주는 것이 싫었으며 자유를 찾아 아버지와 결별하고 기생이 되었으나 사내들의 울타리에 갇히게 되었다.
불을 본 부나비 같이 달려드는 사내들을 피하여 만신창이가 된 몸뚱이를 자유의 몸으로 돌려 놓으려 했던 것이다.
기생이 아름답고 학문이 아무리 높아도 기생은 기생이고 시기(詩妓)·악기(樂妓)·의기(義妓)·무기(舞妓) 등이 그 이름이다.
진이는 그것이 싫었고 기명(妓名)인 명월(明月)이 있으나 그녀는 진이(眞伊)를 고집하였다.
명월이라 부르는 손님은 받지 않았고 진이를 상징하는 명월관으로도 족하다는 생각이며 이제 명월관은 있어도 명월은 없고 진이만 남았다.
묘향산의 보현사를 시작으로 두류산의 골짜기 골짜기를 거쳐 한양을 들러 고향 송도에 왔다.
이제 여자의 남자를 데리고 금강산 유람을 떠나려 하며 1만2천봉 골짜기 사찰을 찾아 어머니의 극락왕생을 빌 것이다.
진이는 첫걸음으로 유점사(楡岾寺)를 찾았으며 주지스님을 찾아 정성껏 시주를 하고 어머니 현학금에 대한 기도부터 올렸다.
두류산의 천왕봉까지 올라갔다 온 진이는 전신에 피로감이 몰려왔고 금강산은 두류산에 비해 정감이 가는 동네 산이다.
대웅전 뒤에 자그마한 방을 배려 받아 그들은 짐을 풀었고 짐이래야 거문고와 타고 온 말이 전부다.
방에 들어가자 그들은 곯아 떨어졌고 오뉴월 엿가락처럼 녹초된 상태에도 이생의 손은 진이의 사타구니를 찾았다.
주지스님은 진이도 사내로 보고 한방에 넣었으며 송도에서 진이를 모를 리가 없을 터인데 몰골이 말이 아니라 주지스님은 사내로 착각했을 것이다.
이생의 손이 사타구니로 오면서 진이는 어느새 그곳에 뜬금없이 달콤한 꿀이 나오면서 꿈속으로 빠져들었고 비몽사몽 상태가 되었다.
이생의 손이 그곳에서 재미를 보는 사이에 진이는 어릴 때의 송도로 돌아갔다.
버드나무 부드러운 바람을 훑고 보슬비 꽃다운 들에 날리는 동교(東郊)와 비단처럼 밭이랑 펼쳐있고
맛좋은 막걸리에 취한 농부들의 흥겨운 노랫소리의 서교(西郊)에서 깔깔대며 어머니와 뛰어놀았던 시절로 빠져들었다.
진이는 팔도유람을 하면서 가는 곳마다 어머니의 극락왕생 기도를 빠뜨리지 않았고 그럴 때마다 사대부들을 하나하나 정복해 갔던 일들이 떠올랐다.
당시엔 내색을 할 수 없었으나 속으론 쾌재를 불렀곷이제 세월의 무게에 눌린 상열지사(相悅之詞)의 애틋했었던 순간을 문득문득 떠올렸다.
들 절간에 송화 꽃은 떨어지고/ 비갠 냇가엔 버들 솜이 날리네/
타고 갈 백마에겐 재갈을 물려놓고/ 떠나려 해도 차마 발이 떨어지지 않네/
모이면 헤어짐은 예나 이제나 마찬가진데/ 인간의 공명은 꿈이 아니고 무엇이랴/
청산은 남몰래 꾸짖으며 나무라기를/ 누가 소광(疏廣)과 소수(疏水) 두 사람을 아꼈으랴?
이제현(李齊賢·1287~1367)의 '총교송객'(靑郊送客)이다.
남녀가 만났다 헤어짐에 어찌 석남(石男)·(石女)가 될 수 있을까? 진이가 제아무리 여중호걸(女中豪傑)이라 하여도 가녀린 여자임에는 틀림없다.
세월은 유수와 같아 어느새 진이도 이십 고개를 넘어 삼십을 향해 달려가고 있으니
호의호식하며 허리 밑으로 사대부와 한량들을 줄을 세웠던 나날들이 문득문득 떠올랐다.
사랑을 하면 정이 들고 뜨거운 살을 섞으면 욕심이 생겨 헤어지기 싫은 것이 남녀사이의 관계일 것이다.
진이를 거쳐간 사내들은 수도 셀 수 없을 만치 많으나 그중에서도 소세양과 이사종이 특히 이따금씩 몸서리쳐지도록 간절하다.
한양이 남성적 도시라면 송도는 여성적 도시며 진이는 송도에서 소세양과 삼십여 일을 서로 신뢰하는 관계에서 사랑을 나누었다.
그리고 이사종과는 육년이란 짧지 않은 세월을 송도와 한양을 오가며 사랑의 싹을 키워 꽃피웠다.
지금 삼남(三南·충정·전라·경상) 지방을 휘돌아 다시 송도에 오니 흘러간 애틋한 세월이 그리워지기까지 하다.
밤새 이생에게 괴롭힘을 당했으나 몸은 오히려 가뿐해졌고 처음엔 못이기는 척하다가
차츰 몸이 달아오르자 여러 사내를 통하여 터득한 사랑의 기술이 저절로 나왔다.
이생의 물건이 깊숙이 들어올 때마다 엉덩이가 저절로 따라 움직여 호흡을 맞춰 주었다.
이생은 의아해 하면서도 모르는척하며 처음으로 진이에게서 흡족한 욕정을 채웠다.
진이는 동창이 밝자 아침도 거른 채 산행에 나섰다. 고향에 다시 돌아오니 힘이 다시 솟아났다.
- 18화에서 계속 -
[출처] 풍류야화 황진이(제17화)|작성자 청솔
'살아가는 이야기 >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류야화 황진이(제27화) - 안심습지 (0) | 2024.03.07 |
---|---|
풍류야화 황진이(제18화) - (구)반야월 역사 (0) | 2024.03.07 |
풍류야화 황진이(제16화) - 계명대 대명 캠퍼스 (0) | 2024.03.06 |
풍류야화 황진이(제15화) - 달성습지 (0) | 2024.03.06 |
풍류야화 황진이(제14화) - 달성습지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