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 / 문정희
벌써 남자들은 그곳에
심상치 않은 것이 있음을 안다
치마 속에 확실히 무언가 있기는 있다
가만두면 사라지는 달을
감추고
뜨겁게 불어오는 회오리 같은 것
대리석 두 기둥으로 받쳐 든 신전에
어쩌면 신이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 은밀한 곳에서 일어나는
흥망의 비밀이 궁금하여
남자들은 평생 신전 주위를 맴도는 관광객이다
굳이 아니라면 신의 후손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들은 자꾸 족보를
확인하고
후계자를 만들려고 애쓴다
치마 속에 확실히 무언가 있다
여자들이 감춘 바다가 있을지도 모른다
참혹하게 아름다운 갯벌이
있고
꿈꾸는 조개들이 살고 있는 바다
한번 들어가면 영원히 죽는
허무한 동굴?
놀라운 것은
그 힘은 벗었을 때 더욱 눈부시다는 것이다
팬티 / 임보
문정희의「치마」를 읽고서......
그렇구나.
여자들의 치마 속에 감춰진
대리석 기둥의 그 은밀한 신전.
남자들은 황홀한 밀교의 광신들처럼
그 주변을 맴돌며 한평생 참배의 기회를 엿본다
여자들이 가꾸는 풍요한 갯벌의 궁전,
그 남성 금지구역에 함부로 들어갔다가 붙들리면
옷이 다 벗겨진 채 무릎이 꿇려
천 번의 경배를 해야만 한다
그러나, 그런 곤욕이
무슨 소용이리
때가 되면 목숨을 걸고 모천으로 기어오르는 연어들처럼
남자들도 그들이 태어났던 모천의 성지를 찾아
때가 되면 밤마다 깃발을 세우고 순교를 꿈꾼다.
그러나, 여자들이여. 상상해 보라
참배객이 끊긴.
닫힌 신전의 문은 얼마나 적막한가!
그 깊고도 오묘한 문을 여는
신비의 열쇠를 남자들이 지녔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보라.
그 소중한 열쇠를 혹 잃어버릴까 봐
단단히 감싸고 있는 저 탱탱한
남자들의 팬티를!
옳거니 / 정성수
문정희 시인의 「치마」와 임보 시인의「팬티」를 읽고.....
치마를 올릴 것인지? 바지를 내릴 것인지?
이것이 문제로다
그렇다
세상의 빨랫줄에서 바람에게 부대끼며 말라가는 것 또한
삼각 아니면 사각이다
삼각 속에는 *대리석
두 기둥으로 받쳐 든 신전이 있고
사각 속에는 *그
깊고도 오묘한 문을 여는 신비의 열쇠가 있다고
문정희와 임보가 음풍농월 주거니 받거니
진검 승부를 펼친다
옳거니
방폐 없는 창이 어디 있고
창 없는 방폐가 무슨 소용이리
치마와 바지가 만나 밤은 뜨겁고 세상은 환한 것을
참고 : * 문정희와
임보 시에서 차용
치마와 팬티 / 이수종
문정희 시인의 「치마」와
임보 시인의「팬티」를 읽다가......
치마 속 신전에는 달을 가리고
숨겨주는 창이 있다
바람을 빨아들이는 들창 주위를 서성거리며
은밀히 숨겨진 비밀을 열고 싶어
사내들은 신전가는 길목에서
치마를 서로 차지하기 위해 영역싸움을 벌인다
거기서 이기면 다 되는가
그건 일차 관문에 지나지 않는
창들끼리의 다툼일 뿐
방패를 뚫고 침입하는
선택받은 승자의 개선을 위해서는
목숨을 건 더 큰 한판 승부가 남아 있다
사내의 완력만으로는 성문을 열 수 없다
문 열라 참깨하고
주문을 외우며
사내들은 치마 앞에서
치마성의 주인과 내통하는
카드 비밀번호를 맞춰 보아야 한다
성주의 환심을 사기 위해서는 구도자의 인내도 필요하고
계관시인의 음유도 필요하고
말 탄 백기사의 용맹도 있어야 되지만
힘 하나 안들이고 성문을 열고 맞아들이는 경우도
아주 드물게 더러는 있어
치마 앞에서는 여간 근신하며 공을 드려야 하는게 아니다
그래서
치마는 딱 한번 열렸다 닫히고
더 이상 끄떡도 하지 않은 채
폐쇄되는 경우가 다반사인 것이다
창은 방패를 이길 수 없고
방패는 창을 이길 수 없다는 말이다
힘의 싸움이 아니라는 것이다
神殿 - 몽블랑/이석희
치마와 팬티를 읽고.........
너무 늙어버린 신도에게는
경배하는 마음조차 사라졌는가
옷이 벗겨진 채 무릎 꿇려도
참배를 갈망하던 신도였건만
신전 주위를 맴돌긴 해도
신의 눈에 띌새라 겁먹었는가
참배객의 발길 끊겨 닫힌 신전은
재 너머 성황당처럼 적막하구나.
<古詩> "살송곳"과 "살풀무"
살송곳-정철(鄭澈)
옥(玉)이 옥이라 하니
진옥(眞玉)일까 번옥(燔玉)일까
나에게 살송곳이 있으니
뚫어 볼까 하노라.
살풀무-진옥(眞玉)
철(鐵)이 철이라 하니
정철(正鐵)일까 번철(燔鐵)일까
나에게 살풀무가 있으니
녹여 볼까하노라.
‘개고기를 뜯어먹고
해구신을 고아먹고
산삼을 찾아
날마다 허둥거리며
붉은 눈을 번득이는 남자, 싱싱하게 몸부림치는
가물치처럼 온몸을 던져오는
거대한 파도 같은 남자들은 안 보이고, 몰래 숨어 해치우는
누우렇고 나약한 잡것들뿐, 비겁하게 치마 속으로 손을 들이미는 때 묻고 약아빠진 졸개들뿐’
(<사랑하는 사마천 당신에게> 중에서)이라고
꾸짖다가도
‘대낮에 밖에서 돌아온 한 남자가
넥타이를 반만 푼 채
거실 소파에서 졸고 있다
침을 조금 흘리며 가랑이를 벌리고.
나와 같은 주걱으로 밥을 퍼서 먹은 지
20년이 넘은 남자
가끔 더운 체온을 나누기도 하지만
여전히 끌려온 맹수처럼
내가 만든 우리 주위를 빙빙 도는 남자’
(<평화로운 풍경> 중에서)라며 측은지심의
존재로 어르기도 한다.
'살아가는 이야기 > 일상에서의 탈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수익 시인의 詩 (0) | 2016.11.10 |
---|---|
새와 관련된 詩 (0) | 2016.11.10 |
문정희 시인 詩 몇편 (0) | 2016.11.10 |
마천산 산행기 - 마천산 노신사 (0) | 2016.11.07 |
법륜 스님이 최순실이를 능력 있는 사람이라 했데요 (0) | 2016.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