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공구덕(蒲公九德) - 공공 공지 산책중
포공구덕(蒲公九德)
포공(蒲公)이란
민들레의 습성(習性)을 비유하여,
한의학(韓醫學)에서 민들레를 지칭하는 이름이다.
포공영(蒲公英) 이라고도 한다.
민들레에는
아홉 가지의 배울 점이 있다고 한다,
옛날 서당에서는 뜰에 민들레를
심어, 글을 배우는 제자들이
매일같이 보면서 민들레의
아홉 가지의 덕목(德目)을 교훈으로 삼도록 가르쳤다,
이를 " 포공구덕(蒲公九德)"이라 했다.
그 아홉 가지의 덕(德)을 말해본다.
1) 인(忍)-민들레는 밟거나, 우마차(牛馬車)가 그 위를 지나 다녀도 죽지 않는다.
다시 살아나는 끈질긴 생명력이 있어,
참을성이 많은 인(忍)의 덕목을 지녔다.
2)강(剛)-민들레는 뿌리를 자르거나, 캐내어 며칠을 말려도 싹이 돋고,
호미로 난도질을 해도 가느다란
뿌리를 내려 굳건히 살아나는 강(剛)의 덕목을 지녔다.
3) 예(禮)-민들레는 돋아 난 잎의 수 만큼 꽃대가 올라와, 먼저 핀 꽃이
지고 난 뒤, 다음 꽃대가 꽃을 피운다,
올라오는 순서를 알고 그 차례를 지켜 피어나니, 예의 덕목(德目)을 지니고 있다.
4) 용(用)-민들레는 인간에게 여린
잎이나, 뿌리를 먹을 수 있도록
온몸을 다 바친다, 사람에게 먹을 것을 제공하는 유용한 쓰임새가 있으니 용(用)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5)정(情)-민들레는 봄에 가장 먼저 꽃을 피우며, 꽃에는 꿀이 많아, 벌과 나비를 불러 모아 꿀을 나눈다. 아름다운 나눔을 실천하는 정(情)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6)자(慈)-민들레는 잎과 줄기를 자르면 뽀오얀 젖이 흘러나와, 상처를 낫게 하는 약(藥)이 된다. 이는 자비로운 어머니의 사랑과 같은자비를 뜻 하는 자(慈)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7)효(孝)-민들레는 소중한 약재로서 뿌리를 달여 부모님께 드리면, 흰머리를 검게 하여 나이든 이를 젊게 한다. 이는 민들레가 효(孝)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8) 인(仁)-민들레는 자기 몸을 찢어,
모든 종기에 아주 유용한 즙(汁)을 내어주어, 자기의 몸을 희생시키니, 어질고도 어진(仁)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9)용(勇)-민들레는 꽃이 피고 질때, 씨앗은 바람을 타고 멀리날아가,돌밭이나 가시밭이나, 옥토(沃土)에 떨어져, 스스로 번식하고 융성하게 자란다, 그렇게 자수성가(自手成家) 를 뜻하는, 용(勇)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그냥 길섶에 피어 하찮고 수줍어 보이기만 하는 민들레가 이처럼 아홉 가지 덕을 지니고 있음을 알겠느냐?
그 깊은 뜻을 끄집어 낸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엿보이는 이야기들이니 허투로 듣지 말고 눈에 보이면 캐어 먹어라.
작은 것을 밝혀내어 큰 것을 얻었던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온고지신으로 삼아 하찮은 풀,벌레,작은 것에도 깊은 뜻이 있음을 깨닫고 배울 점은 새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