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아비 소복입은 과부 취하기

 
 

지단자책 망심책망(指短自責 忘甚責望)

손가락이 짧은 것을 자책하고 건망증이 심한 것을

책망하다.

한 촌녀가 자색이 뛰어나고 고왔으나 안타깝게도

일찍 과부가 되었고 일편단심 민들레처럼 떠나간

지아비를 그리워하며 한밤을 지샛다.

그리고 그녀는 소복을 입고 때때로 남편의 무덤을

찾아가 통곡을 하면서 비애의 정을 가누질 못하고

한없는 슬픔에 잠기곤 했었다.

하루는 혈기가 왕성한 나이에 홀아비가 된 장년이

과부가 통곡하고 있는 무덤 앞을 지나게 되었는데

슬피우는 곡소리에 발걸음을 멈추었다.

지나가던 홀아비가 걸음을 멈추고 과부를 자세히

바라보니 소복입은 과부의 모습이 뛰어난 자색에

한송이의 목련꽃처럼 곱고도 우아했다.

홀아비는 소복과부의 뛰어난 미모와 소복을 하고

있다는 점에 음심이 들어서 어떻게든 소복과부를

취해볼 요량으로 기지를 발휘하였다.

홀아비는 소복을 입은 과부의 애끓는 슬픔에 대한

곡절도 물어보지 않고 소복과부 바로 옆에 엎드려

다짜고짜 목놓아 큰 소리로 통곡하였다.

한창 통곡을 하던 소복과부는 건장한 사내가 자기

옆에 엎드려서 땅을 치며 통곡하는 것을 괴이하게

상각하여 울음을 멈추고 곡절을 물었다.

그러자, 홀아비가 과부에게 대답 하기를 홀아비의

아내가 얼마 전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가슴속에

슬픈 마음을 품고 살아간다 하였다.

그런데, 마침 이곳을 지나가다가 소복여인의 슬픈

얼굴과 애통한 곡소리를 듣고 자기도 모르게 죽은

아내가 생각나 곡을 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자, 소복과부는 자신만 남겨두고 먼저 떠나간

남편을 탓하면서, 남편을 잃게된 사연을 말하고는

더욱 슬픔에 젖어 통곡을 그치지 않았다.

이때다 싶은 홀아비는 더욱 크게 곡을 하며 아내가

살아 생전에 늘 자신의 손가락이 짧은 것과 남편의

건망증이 심한 것을 책망하였다고 말했다.

홀아비가 아내같은 사람을 어디서 다시 얻을 수가

있겠느냐고 하며 더욱 엉엉울고 곡을 하자 과부가

괴이한 생각이 들어서 곡을 그치고 물었다.

"손가락이 짧은 걸 자책하였다 함은 무엇인지요?

"부끄러워서 부인에게 차마 말을 하지 못하겠소!"

그러자 소복과부가 더욱 더 궁금하여 홀아비에게

다시 다그쳐 연유를 물어보자 홀아비가 과부에게

브끄러운 듯한 얼굴로 웃으면서 대답했다.

홀아비의 양물이 매우 큰데, 아내가 틈만나면 그걸 움켜잡고 아래위로 세게 흔들었으며 잠자리에서도 양물을 붙잡고 잠들기를 좋아했다고 하였다.

그러나 홀아비 아내의 손가락이 짧아서 한손으로

움켜잡지 못하는 게 아쉬웠다고 한탄하자 과부는

부끄러운 듯 상기된 얼굴로 또 다시 물었다.

"그럼 건망증은 또 무엇을 말함이신지요?"

홀아비는 양기가 너무 강해서 하루도 걸르지 않고

매일밤 방사를 하였으며 방사를 하고 나면 방사한

기억을 잊고 또 방사를 시작한다고 했다.

그러면 아내가 방금 방사하고 또 방사를 하느냐고

책망을 하면, 홀아비는 방사 사실을 잊어버렸다고

했다면서 말하고는 또 통곡을 하였다.

과부는 홀아비의 그 말을 모두 듣고나더니 음심이

발하여 얼굴이 화사해지고,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야릇한 눈웃음을 지으면서 말하였다.

우리가 피차 같은 심정으로 통곡하고 있으나 이리

슬프게 통곡한들, 아득한 황천에 곡소리가 들릴리

없으니 통곡이 무슨 소용이냐고 하였다.

"그만 진정하시고 집으로 돌아가십시다."

홀아비는 마음 속으로 옳지 됐구나 하고 생각하며

돌아가는 것이야 어렵지 않지만 내 슬픈 사연이나

통감하는지 과부에게 말해달라고 하였다.

"홀아비 심정 과부가 모르면 누가 알겠소."

"그러하오니 저희 집으로 함께 가시지요!"

이리하여 그들은 과부의 집으로 돌아와 홀아비는

졸지에 소복과부의 숲많고 물많은 옥문을 취할수

있었으며 그들은 밤이 새도록 욕정을 풀었다.

천둥번개가 치듯 요란하고, 노도같은 광풍이 불어

오듯 앞치락 뒤치락 하며 운우의 정을 나누었으며

천상배필과 찰떡궁합이 따로 없었다.

어느날 과부가 홀아비에게 죽은 자기 서방 묘자리

옆에 팔뚝만한 옹이가 하나 있었는데 죽은 서방의

묘자리가 천하 제일의 명당이었다고 했다.

이에 홀아비가 과부에게 죽은 아내를 산속 옹달샘

옆에다 고이 묻어주었더니, 이리도 숲많고 물많은

여인을 얻게 되었다고 웃으면서 응수했다.

홀아비는 죽은 아내의 묘자리는 천하에 명당중의

명당이라고 하였으며, 홀아비와 과부는 속궁합이

맞아 밤이면 밤마다 색욕을 마음껏 즐겼다.

오늘 밤에도 홀아비의 폭풍같은 절구질과 과부의

능숙하고 현란한 요분질이 어울려 물오른 과부의

애절한 감창이 담을 넘어서 하늘을 찌른다.

- 옮긴글 편집 -

+ Recent posts